바이브코딩

전문 개발자처럼 AI로 바이브코딩 하는 법 - SpecKit 가이드

페이지 정보

작성자 xtalfi
작성일 2025.10.21 17:19
308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AI 도구 Gemini
프롬프트 https://www.youtube.com/watch?v=Ch2dL7i_1pE 영상 내용을 정리

해당 영상은 **SpecKit(스펙키트)**과 **Claude Code(클로드 코드)**를 활용하여 전문 개발자처럼 체계적인 방식으로 AI 개발을 진행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가이드입니다. 단순히 AI에게 명령만 내리는 '바이브 코딩'의 한계를 지적하고, 기획과 설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다음은 영상의 주요 내용 요약입니다.


1. 바이브 코딩의 실패 원인 지적


* 문제점: 개발자가 아닌 사람이 바이브 코딩을 시도할 경우, 대략적인 생각([01:30])만으로 코드를 생성했다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고, 기능 추가 및 수정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결국 프로젝트를 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해결책: 실제로 사용할 만한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획, 기능 정의서, 데이터베이스 설계([03:02])와 같은 체계적인 접근과 설계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2. SpecKit의 7단계 체계적 개발 워크플로우


SpecKit은 명세 기반 개발(Spec-Driven Development)을 지원하며, 다음 7단계를 통해 체계적인 개발을 돕습니다.


* 원칙 설정 (Constitution)
  * 프로젝트의 기본 규칙 및 개발 방식을 설정합니다 ([08:07]).


* 명세 작성 (Specify)
  * 무엇을 만들지에 대한 상세한 기능 정의서와 같은 명세를 작성합니다 ([10:23]).


* 명확화 (Clarify)
  * 작성된 명세 중 불분명하거나 빠진 부분을 SpecKit이 질문하여 보완합니다 (예: 보안, 재시도 정책, 속도 제한 등) ([12:46]).


* 계획 수립 (Plan)
  * 어떤 기술 스택(Tech Stack)을 사용하고 아키텍처를 어떻게 구성할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웁니다 (데모에서는 Gemini 2.5 Flash 사용으로 변경) ([15:16]).


* 테스크 분할 (Taskify)
  * 수행 가능한 최소 단위의 작업(테스크) 리스트를 생성하여 개발 단위를 쪼갭니다 (데모에서 총 63개의 테스크 생성) ([18:21]).


* 구현 (Implement)
  * 앞선 기획과 설계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로 코드를 개발하고 생성합니다 ([21:30]).


* 검증 (Spec Check)
  * 최종 구현된 코드가 처음에 기획하고 명세했던 내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24:38]).


3. 실습 (AI 블로그 생성기 개발)


* 프로젝트: 생성형 AI를 이용해 키워드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블로그 글을 작성해 주는 AI 기반 대화형 블로그 생성기를 개발합니다 ([06:13]).


* 개발 과정: SpecKit의 7단계를 따라 초기화부터 명세 작성, 기술 스택 결정, 63개의 테스크 분할, 코드 구현을 순차적으로 진행했습니다.


* 결과: API 키 입력 등의 문제를 해결한 후, 성공적으로 블로그 글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23:52]). 마지막으로 Spec Check를 통해 100% 모두 잘 구현되었음을 검증했습니다 ([25:01]).


이러한 체계적인 개발 과정을 통해 단순한 프롬프트 몇 줄로 개발을 맡기는 방식보다 훨씬 완성도 높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영상 정보:
* 채널 이름: 아이티커넥트
* 제목: 전문 개발자처럼 AI로 바이브코딩 하는 법 - SpecKit 가이드
* URL: https://www.youtube.com/watch?v=Ch2dL7i_1pE
 

댓글 0
전체 36 / 1 페이지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