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Geoffrey Litt] 외과 의사(surgeon)처럼 코딩

페이지 정보

작성자 xtalfi
작성일 2025.10.26 18:34
40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AI 도구 Gemini
프롬프트 Https://www.geoffreylitt.com/2025/10/24/code-like-a-surgeon 내용 정리

사용자님께서 요청하신 Geoffrey Litt의 블로그 게시글 **"Code like a Surgeon"**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은 AI 코딩 도구가 개발자의 역할을 "관리자(manager)"나 "편집자(editor)"로만 만들 것이라는 일반적인 견해는 위험할 정도로 불완전하다고 주장합니다. 대신, 저자는 개발자가 **"외과 의사(surgeon)처럼 코딩"**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외과 의사처럼 코딩한다는 것

  •  외과 의사의 비유: 외과 의사는 실제로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작업을 직접 수행하지만, 준비 작업, 부수적인 업무, 행정 업무 등은 보조 팀의 도움을 받아 처리함으로써 자신의 숙련된 기술과 시간을 최대한 활용합니다.
  • 핵심 목표: AI 코딩 도구를 활용하여 중요한 일에 100% 시간을 집중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저자에게는 (UI 프로토타이퍼로서) 디자인 개념을 다듬는 일이 이에 해당합니다.


AI에게 위임할 수 있는 부수적인 업무

AI 에이전트가 처리하기에 충분한 수준에 도달한 "부수적인 업무(secondary tasks)"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 코드베이스 가이드 작성: 큰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관련 코드베이스 영역에 대한 가이드를 작성합니다.
  • 대규모 변경 시도: 큰 변화를 시도하는 초안(spike out)을 작성합니다. 결과물을 직접 사용하지 않더라도,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스케치로 활용합니다.
  • 오류 및 버그 수정: 명확한 사양이 있는 타입스크립트 오류나 버그를 수정합니다.
  • 문서 작성: 개발 중인 내용에 대한 문서를 작성합니다.

저자는 이러한 부수적인 작업을 점심시간이나 심지어 밤새도록 비동기적으로 실행하여, 업무를 시작할 때 마치 준비된 수술실에 들어서는 외과 의사처럼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자율성 조절(Mind the Autonomy Slider)

핵심 업무와 부수적인 업무에 AI를 사용하는 방식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강조합니다.

  • 핵심 업무 (디자인 프로토타이핑 등): 직접 코딩을 많이 하며, AI를 사용할 때는 신중하고 세부적으로 접근합니다. 빠른 피드백과 가시성(Visibility)이 중요합니다(예: Cursor의 탭-완성 기능).
  • 부수적인 업무: AI 에이전트가 몇 시간 동안 백그라운드에서 작업하도록 두는 등 훨씬 자유롭게 위임합니다. 결과적으로 일을 완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속도나 가시성은 덜 중요합니다(예: Claude Code, Codex CLI).

이는 Andrej Karpathy의 "자율성 조절 장치(autonomy slider)" 개념을 떠올리게 하며, 이처럼 자율성 스펙트럼의 각기 다른 부분을 혼동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AI를 활용한 팀워크 및 개념의 부활

  • "잡일" 해방: AI는 **"잡일(grunt work)"**에 대한 우려를 완전히 해소합니다. 저자는 팀원 간에 잡일을 공유하는 문화를 선호하지만, AI에게 순수한 잡일을 위임하는 것은 지위(status) 계층에 대한 걱정 없이 모두가 핵심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 24/7 가용성: 인간 인턴에게 밤 11시에 코드 연구 보고서를 아침 7시까지 준비하라고 요청할 수 없지만, AI 에이전트에게는 그렇게 명령할 수 있다는 점을 큰 이점으로 언급합니다.
  • 오래된 개념의 경제적 실현: Fred Brooks의 고전 *'맨-먼스 미신(The Mythical Man-Month)'*에서 언급된 "주임 프로그래머(chief programmer)" 개념(1975년 Harlan Mills에 의해 고안)은 지원 역할을 인간이 맡는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으나, AI 덕분에 이제 경제적으로 실현 가능해졌습니다.


결론적으로, **"외과 의사처럼 일하기"**의 목표는 핵심 업무를 위임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 업무를 제외한 부수적인 잡무를 식별하고 위임하여 가장 중요한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댓글 0
전체 92 / 1 페이지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