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5대 기업, 엔비디아와 GPU 26만장 공급 계약
페이지 정보
본문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한국 주요 기업들이 세계 최대 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손잡고 총 26만장의 최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확보하는 역사적 협력에 나선다. 31일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발표된 이번 'AI 동맹'은 한국을 세계 AI 3대 강국으로 도약시키기 위한 전방위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이재명 대통령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를 접견한 자리에서 이루어진 이번 발표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한국 정부에 5만장, 삼성전자·SK그룹·현대자동차그룹에 각각 5만장씩, 네이버클라우드에 6만장을 공급한다. 총 공급 규모는 최대 14조원에 달하며, 이는 현재 한국이 보유한 전체 GPU의 13배에 이르는 막대한 물량이다.
제조업 혁신을 위한 'AI 팩토리' 구축 본격화
각 기업들은 확보된 GPU를 활용해 산업별 특화된 AI 팩토리를 구축한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제조의 모든 과정을 지능화하는 '반도체 AI 팩토리'를 통해 설계부터 공정, 품질 관리까지 전 과정에 AI를 적용한다. 엔비디아의 옴니버스, 쿠다X, 쿠리소 기술 도입으로 공정 시뮬레이션 속도가 20배 향상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SK그룹은 '제조 AI 클라우드' 플랫폼을 구축해 국내 제조업 생태계 전체를 연결하는 아시아 최초의 제조 AI 생태계를 조성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자율주행차와 스마트 팩토리, 로보틱스 분야의 거대 모델 훈련을 위한 AI 팩토리를 구축하며, 정부와 함께 피지컬 AI 분야에 30억 달러를 공동 투자한다.
글로벌 AI 경쟁에서 한국의 위상 제고
이번 협력으로 한국의 AI GPU 총량은 기존 6만5천 장에서 30만 장 이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의 목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AI 수도로 거듭나는 것"이라며 "엔비디아도 블랙록, 오픈AI처럼 한국 투자에 동참해 AI 생태계를 함께 만들어가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젠슨 황 CEO는 "한국은 소프트웨어와 제조업 역량을 모두 갖춘 유일한 국가"라며 "AI 분야에서 한국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고 평가했다. 네이버는 산업 맞춤형 AI로 제조 현장 디지털화에 나서며, LG전자도 휴머노이드 로봇과 의료 분야에서 엔비디아와 파트너십을 확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