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반도체특별법 통과 임박, 주52시간제 예외는 제외
페이지 정보
본문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여야가 반도체 분야 고소득 연구개발(R&D) 근로자에 대한 '주52시간제 적용 예외 조항' 없이 반도체특별법을 처리하기로 합의하면서 법안 통과가 임박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계의 투자 환경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여야 합의로 주52시간제 예외 조항 제외 확정
국민의힘 반도체·AI 첨단산업특별위원회는 3일 전체회의를 열고 주52시간제 예외 조항을 제외한 반도체특별법 처리에 협조하기로 결정했다. 양향자 특위 위원장은 "주52시간 예외 조항을 제외한 반도체특별법이라도 빠른 시일 내 처리해야 한다는 업계 요구가 많다"며 "이달 중 본회의 처리라는 민주당 계획에 협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지난 4월 주52시간제 예외 조항을 제외한 반도체특별법을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으로 지정했으며, 현재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자동 부의된 상태다. 민주당은 11월 중 법안을 본회의에서 처리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의 안기현 전무는 "반도체특별법과 주52시간제 예외 조항이 합쳐져서 둘 다 통과가 안 되는 것보다 먼저 통과될 수 있는 것은 통과시키고 52시간 문제는 따로 논의해서 통과시켜야 한다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라고 말했다.
반도체 대장주 사상 최고가 경신
법안 통과 기대감과 함께 엔비디아와의 협력 기대감이 더해지면서 국내 대표 반도체주들이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3.35% 오른 11만1100원에 거래를 마쳤으며, 장중 한때 11만1500원까지 오르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무려 10.91% 오른 62만원에 마감했으며, 오후 한때 62만4000원까지 오르면서 전고점을 경신했다. 대형 반도체주의 강세로 이날 코스피는 전장보다 114.37포인트(2.78%) 오른 4221.87에 장을 마쳤으며, 종가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업계 환영하지만 주52시간제 예외는 아쉬워
반도체특별법은 반도체 산업 지원 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각종 세제 혜택 등으로 반도체 산업을 지원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반도체산업 혁신특구 조성 시 신속한 인허가나 전력·용수·도로망 등 인프라 지원 근거 마련 등도 주요 내용이다.
업계는 전반적으로 환영하는 분위기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을 비롯한 반도체 경쟁 업체들이 빠른 속도로 추격하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이 연구개발과 생산 현장의 경쟁 속도를 따라잡을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주52시간제 예외 조항이 제외된 것에 대해서는 아쉬움을 표했다. 국민의힘 고동진 의원은 "엔비디아 같은 곳은 토·일요일에도 일하고 있다. 중국 딥시크 같은 곳이 주 52시간 일했으면 그런 접근이 나왔을까"라며 상위 10%에 해당하는 우수 개발 인력에 대한 주52시간제 예외의 필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