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장관, 40조원 벤처투자 시장 조성 추진
페이지 정보
본문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5일 취임 100일을 맞아 "회복을 넘어 성장"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하며 벤처투자시장 40조원 조성과 매년 6000개 창업기업 육성을 골자로 한 중소기업 성장 정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한 장관은 이날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 S1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취임 후 100일간은 회복에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성장에 집중하겠다"며 향후 정책 방향으로 △어게인 벤처붐 △중소기업 스케일업 △활기찬 소상공인 △연결·융합의 생태계 조성 등 4대 과제를 제시했다고 전자신문이 보도했다.
연기금 출자 허용으로 민간투자 활성화
벤처투자 시장 40조원 조성의 핵심은 민간 투자 촉진이다. 현재 국내 벤처투자 규모가 연간 약 12조원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3배 이상 확대하는 목표다. 중기부는 연기금·퇴직연금의 벤처펀드 출자를 허용하고 금융권과 일반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투자 제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모태펀드 출자 예산도 현재 1조원 규모에서 2배 이상 확대하고 존속기한을 연장한다. 한 장관은 "벤처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세제 인센티브 등 종합대책에 구체적으로 반영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코스닥 시장 활성화 등 금융 제도 개편도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청년창업가 1000개사, TIPS 선정기업 1200개사 등 유망 창업기업을 매년 6000개사 이상 육성해 '모두의 창업' 시대를 개막한다는 계획도 밝혔다. AI·딥테크 벤처·스타트업 집중 육성을 위해 13조5000억원의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를 내년에 본격 가동한다.
역대 최대 R&D 예산으로 기술사업화 가속
중기부는 역대 최대 규모인 2조2000억원의 R&D 예산을 확보했다. 이 중 1조1000억원을 TIPS 방식 R&D로 추진해 벤처캐피털이 선 투자한 스타트업을 정부가 성장단계별로 매칭 지원한다.
한국형 미국식 중소기업 기술이전 프로그램(STTR) 제도 신설 등 기술사업화를 위한 R&D에도 2000억원을 배정했다. 뿌리부터 첨단까지 지역 기반 인공지능 전환(AX) 대전환을 추진하며, AI 중심 스마트공장 1만2000개를 기업 수준에 맞게 맞춤형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제조 AI 기술을 공급하는 전문기업을 500개사 육성하고 제조 AI R&D도 추진해 제조 AI솔루션을 매년 100개 이상 발굴한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중소기업 성장 사다리 강화를 위해 제3자 M&A 방식의 기업승계를 활성화하는 'M&A형 기업승계 특별법' 제정도 추진한다.
소상공인 지원을 위해서는 대출 보유 소상공인 약 300만 명을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선제적으로 위기징후를 포착한 후 경영진단을 통해 위기 수준을 분석하고, 정책자금 지원부터 채무조정, 재취업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하는 체계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단순한 회복을 넘어 자생적 성장을 이루는 구조를 만들겠다"며 "중기부가 현장과 정책을 잇는 '성장 생태계의 허브'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