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공익법인 전환 확정, MS 27% 지분에 IPO 준비
페이지 정보
본문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새로운 협약을 통해 공익법인(Public Benefit Corporation, PBC) 전환을 최종 확정했다. 28일(현지시간) 양사가 발표한 협약에 따르면, MS는 재편된 '오픈AI 그룹 PBC'의 지분 27%(약 1350억 달러 상당)를 보유하게 된다.
이번 구조 개편으로 오픈AI는 비영리 재단의 통제를 유지하면서도 전통적인 영리기업과 유사한 자본 조달이 가능해져, 향후 기업공개(IPO) 추진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MS와 오픈AI 파트너십 재정립
새로운 협약의 핵심은 MS의 지식재산권(IP) 보유 기간 연장이다. MS는 오픈AI의 모든 모델과 제품에 대한 IP 권리를 2032년까지 유지하며, 여기에는 범용인공지능(AGI) 수준에 도달한 모델도 포함된다. 오픈AI가 AGI 달성을 선언할 경우, 독립 전문가 패널의 검증을 거쳐야 하며, MS의 IP 권리는 검증 완료 시점 또는 2030년 중 먼저 도래하는 시점까지 유지된다.
반면 MS는 오픈AI의 컴퓨팅 공급자로서의 우선 협상권을 포기했다. 오픈AI는 MS의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를 2500억 달러 규모로 추가 구매하기로 했지만, 이제 아마존웹서비스나 구글 클라우드 등과도 자유롭게 계약할 수 있게 됐다.
MS는 오픈AI 수익의 20%를 받을 권리를 계속 보유하며, 새 협약에 따라 추후 더 많은 금액을 지급받을 수도 있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비영리 구조 유지하며 IPO 길 열어
오픈AI는 2015년 '안전한 AI' 개발을 목표로 비영리 단체로 시작했지만, 2022년 챗GPT 출시 이후 급증한 개발 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영리법인 전환을 추진해왔다. 일론 머스크와 제프리 힌턴 등의 반발에 직면하자, 오픈AI는 독립적인 영리법인 전환 대신 비영리 재단이 통제하는 공익법인 구조를 선택했다.
새로운 구조에서 '오픈AI 재단'으로 명명된 비영리 부문은 약 1300억 달러 가치의 지분(26%)을 보유하게 되며, 이는 "역사상 가장 많은 자원을 보유한 비영리 단체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브렛 테일러 오픈AI 이사회 의장이 밝혔다.
이번 발표 이후 MS 주가는 2.5% 상승해 시가총액이 다시 4조 달러를 넘어섰으며, 업계에서는 오픈AI의 혁신 속도 증대와 AI 경쟁에서의 주도권 강화가 기대된다고 평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