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서울서 AI 데이 개최…국내 스타트업 5곳 선정
페이지 정보
본문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엔비디아가 17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엔비디아 AI 데이 서울'을 개막하고 국내 AI 개발자와 연구자들에게 최신 AI 기술을 선보였다. 이틀간 진행되는 이번 행사에서는 에이로봇, 엔닷라이트, 베슬AI 등 국내 스타트업 5개사가 '엔비디아 인셉션 그랜드 챌린지 파이널 쇼케이스 2025' 최종 기업으로 선정돼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이번 챌린지는 엔비디아와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이 공동 운영하는 '엔업(N&UP)' 프로그램의 핵심 행사로, 약 80개 팀이 참가한 가운데 10월 21일 1차 라이브 피칭을 거쳐 최종 5개 기업이 선발됐다.
휴머노이드부터 3D AI까지 다양한 혁신 기술
휴머노이드 로봇 전문기업 에이로봇은 예선과 라이브 피칭을 통과해 최종 선정됐으며,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력과 사업성을 높게 평가받았다. 에이로봇 관계자는 "엔비디아와 협력을 확대해 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를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3D AI 스타트업 엔닷라이트는 18일 기술 세션에서 생성형 AI 기반 3D CAD 설계 자동화 솔루션 '트리닉스(Trinix)'를 공개했다. 트리닉스는 텍스트나 이미지 입력만으로 3D CAD 데이터를 자동 생성하며, 기존 방식 대비 최대 80%의 시간과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한다. 김선태 엔닷라이트 CTO는 "엔비디아가 주도하는 피지컬 AI 분야에서 3D 데이터 공급 파트너로서 산업 현장의 디지털화와 자율화 전환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AI 인프라 전문기업 베슬AI는 GPU·모델·AI 에이전트를 통합하는 'AI 오케스트레이션 전략'을 발표했다. 베슬AI는 현대차, 티맵모빌리티, 한화생명 등에 AI 인프라 솔루션을 공급 중이며,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LG AI연구원 '엑사원' 등 국내 대규모언어모델 학습에도 활용되고 있다.
실습형 워크숍과 AI 트렌드 콘퍼런스
첫날에는 엔비디아 딥러닝 인스티튜트(DLI)가 주관하는 실습형 워크숍이 열렸다. 주요 세션은 엔비디아 네모(NeMo)와 텐서RT(TensorRT)-LLM을 활용한 맞춤형 대규모언어모델(LLM) 최적화, 아이작(Isaac) 플랫폼 기반 로보틱스 가속화, 최신 쿠다(CUDA) C++를 이용한 가속 컴퓨팅 기초 등으로 구성됐다.
둘째 날에는 소버린 AI, 에이전틱 AI, AI 팩토리, 산업용 AI, 쿠다-X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등 최신 트렌드를 다루는 콘퍼런스가 진행됐다. 최종 선정된 5개 스타트업은 내년 엔비디아 개발자 행사 'GTC 2026' 등 주요 프로그램 참여 기회와 엔비디아의 기술 지원을 받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