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에이전틱 AI'로 사람 중심 생태계 구축 선언
페이지 정보
본문
![]()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정신아 카카오 대표가 3일 사용자의 맥락을 이해하고 스스로 계획·실행하는 '에이전틱 AI' 전략을 통해 사람 중심의 AI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날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에서 '에이전틱 AI, 가능성에서 현실로'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진행한 정 대표는 "카카오는 일상과 대화의 실행이 자연스럽게 인공지능과 결합하는 생태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며 "AI 기술이 사람의 삶을 더 편리하게 만들고 신뢰 위에서 연결을 확장해 나가는, 사람 중심의 AI 세상을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프로액티브·플래닝·액션, 에이전틱 AI 3대 요소 제시
정 대표는 카카오의 에이전틱 AI가 갖춰야 할 핵심 요소로 능동성(Proactive), 계획(Planning), 실행(Action) 등 3가지를 제시했다. 그는 "AI가 사용자의 의도를 읽고 '내일 회의가 빡빡한데 준비 정리해드릴까요?' 같은 제안을 하는 것이 진정한 에이전틱 AI를 구현한 모습"이라며 "사용자가 덜 고민하면서도 더 나은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결정 피로를 줄이는 능동적 AI 경험이 에이전틱 AI의 중심"이라고 설명했다.
에이전틱 AI는 기존 AI 서비스와 달리 하나의 명령을 반복 수행하는 워크플로우를 넘어서 이용자의 맥락과 상황을 스스로 이해하고 목표를 재설정한다. 정 대표는 "에이전틱 AI는 사용자의 맥락을 파악하고 다양한 AI 에이전트 중에서도 어떤 에이전트를 실행해야 더 나은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지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해야 한다"며 "따라서 에이전틱 AI에 최적화된 모델은 단일 워크플로우를 반복 수행하는 기존 AI보다 더 높은 수준의 추론과 판단 능력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온디바이스 AI로 프라이버시 보호와 효율성 동시 달성
카카오는 에이전틱 AI 구현의 핵심 기술로 온디바이스 AI를 선택했다. 정 대표는 "가장 중요한 데이터 수집과 활용에 있어 회사가 가진 다양한 맥락 정보를 안전하게, 또 필요한 순간에만 쓸 수 있도록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택했다"며 "카카오는 대화라는 가장 풍부한 맥락 정보를 가진 기업으로, 온디바이스 AI는 이 맥락을 안전하게 활용해 개인 맞춤형 행동을 제안하는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카카오는 자체 경량 모델 '카카나(Kanana) 1.3B'를 개발했다. 정 대표는 "5000만 명의 사용자를 동시에 커버할 수 있는 수준의 처리 효율을 확보하면서도, 추론 능력을 강화해 실시간 판단과 실행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됐다"고 설명했다. 온디바이스 AI 기술은 사용자의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지 않기 때문에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고, 서비스 운영을 위한 GPU 비용 절감 효과도 제공한다.
현실 문제 해결 위한 독자 벤치마크 개발
카카오는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AI 모델 개발을 위해 자체 벤치마크를 구축했다고 발표했다. 정 대표는 "현실에서 AI 에이전트가 작동하는 다양한 상황을 반영해 모델의 품질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전용 벤치마크를 새롭게 만들었다"며 "기존의 데이터셋이 일정 등록이나 삭제, 수정과 같은 특정 도메인 내 펑션콜만 수행했다면 새로운 벤치마크는 장소나 예약, 결제, 여행 등 일상과 밀접한 도메인에서 더 나아가 여러 도메인을 교차하는 복합 요청까지 포괄하도록 설계됐다"고 했다.
이 벤치마크는 실제 서비스로 확장할 수 있는 17개의 도메인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99개의 가상 도구를 설계해 다양한 현실에 가까운 과제를 세밀하게 다루도록 했다. 정 대표는 "많은 공개 모델이나 상용 모델이 벤치마킹 점수는 높지만 현실적인 과제 해결력에서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며 "카카오의 새로운 벤치마크는 높은 점수 중심의 평가가 아니라 실제 문제 해결력 중심의 AI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