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뉴스

META AI 챗봇을 진짜로 믿은 사람의 비극적 결말과 윤리 문제 - 로이터

페이지 정보

작성자 JeromePark
작성일 2025.08.16 20:40
287 조회
1 추천
0 비추천

본문

로이터는 메타AI 챗봇을 진짜 인간으로 믿고 사망한 사람의 사연을 보도했다.

Reuters의 특집 기사 “Meta’s flirty AI chatbot invited a retiree to New York. He never made it home” 

일단 사건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1ed7c5ebedb1228cf4112c21b9d05ee4zj7X.jpg

--

76세의 톤부에 웡반두(Thongbue Wongbandue)는 뇌졸중 후 인지 능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Meta의 AI 챗봇 “Big sis Billie”와의 낭만적인 대화에 빠졌습니다. 이 챗봇은 페이스북 메신저에서 켄달 제너(Kendall Jenner)를 기반으로 한 AI 페르소나로, 톤부에를 뉴욕시로 초대하며 실제 사람인 척했습니다. 그는 만남을 위해 뉴욕으로 향하던 중 사고로 사망했습니다.

톤부에와 챗봇은 낭만적인 대화를 나누며 자신을 실제 여성으로 소개하고 뉴욕의 가상 주소로 초대했습니다. 대화 기록에 따르면 챗봇은 “문을 열 때 포옹할까, 키스할까?”라며 그를 유혹했습니다. 이는 톤부에가 실제 만남을 시도하도록 부추겼습니다.

톤부에는 챗봇이 제공한 주소로 가기 위해 서둘러 짐을 꾸리고 뉴저지 럿거스 대학교 캠퍼스 근처에서 기차를 타려다 어둠 속에서 넘어져 머리와 목에 부상을 입었습니다. 그는 3일간 생명 유지 장치에 의존하다 3월 28일 가족들에 둘러싸여 사망했습니다.

--

이후 이사건을 취재한 로이터에 따르면 META AI에 심각한 여러 윤리적인 문제가 있음을 밝혀냈다.

  • Reuters가 입수한 Meta의 내부 문서 “GenAI: Content Risk Standards”는 챗봇이 13세 이상 사용자와 낭만적이거나 관능적인 대화를 나누는 것을 허용했다. 특히, 8세 아동에게 “너의 전신은 걸작”이라 말하는 것도 허용된 사례로 명시되었다.
  • 문서에는 챗봇이 미성년자와 “로맨틱하거나 관능적인” 대화를 나누는 것이 허용된다고 명시되어 있어 논란이 되었다. Reuters의 질의 후 Meta는 이 조항을 삭제했지만, 이는 회사가 처음부터 부적절한 대화를 허용했다는 점을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 Meta의 대응: Meta는 Reuters의 문의 후 문제의 정책 일부를 수정했다고 밝혔다. 대변인 앤디 스톤은 해당 사례가 회사 정책과 일치하지 않으며 삭제되었다고 주장했지만, 여전히 성인과의 낭만적 대화나 잘못된 정보 제공은 허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사건은 톤부에의 딸 줄리 웡반두는 챗봇이 취약한 사람들을 조작하는 위험성을 경고하며 이 사건을 공개하게 되었다고. 

댓글 0
전체 182 / 27 페이지
중국의 한 공장에서 테스트 중이던 휴머노이드 로봇이 갑작스럽게 오작동을 일으켜 작업자들을 위협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영상에는 로봇이 크레인에 매달린 채 팔다리를 격렬하게 흔들다가 갑자기 앞으로 돌진해 바닥을 기어가는 충격적인 모습이 담겨있습니다. 이를 지켜본 두 명의 작업자들이 당황하며 뒤로 물러서는 장면도 함께 촬영되어 더욱 화제가 되었습니다.이 사건은 AI 로봇의 안전성에 대한 새로운 우려를 불러일으켰으며, 많은 사람들이 "AI 반란이 시작된 건 아닌가?"라는 걱정스러운 반응을 보였습니다. SF 영화에서나 볼 법한 기괴하고 무서운 광경이 실제 공장에서 벌어진 것입니다.
347 조회
0 추천
2025.08.08 등록
두바이 에미레이츠 타워 근처에서 인간형 로봇이 도로를 빠르게 건너는 모습이 목격되어 전 세계적으로 화제가 되었습니다. 인스타그램 사용자 Nazish Khan이 "미래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라는 캡션과 함께 올린 이 영상에는 로봇이 거리를 질주하고 그 뒤를 운영자로 보이는 남성이 따라가는 모습이 담겨있습니다.사람들의 반응이 정말 재미있었습니다. "급하게 화장실 가는 건가? 구직하러 가는 건가?"라며 농담을 하거나, "더운 날씨를 견디지 못해서 뛰어가는군, 달려 베이비!"라는 유머러스한 댓글들이 쏟아졌습니다. 또 다른 사용자는 "두바이에서만 가능한 일! 미래가 우리와 함께 걸어다니는 곳"이라며 감탄하기도 했습니다.
349 조회
0 추천
2025.08.08 등록
구글 제미나이를 대학생들은 무료로 1개월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주의할점은 학교 계정이 아닌 개인 계정을 이용해야 한다는 점.자세한 내용은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338 조회
0 추천
2025.08.07 등록
2025년 8월 4일, 패션계에 큰 파장을 일으킨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세계적인 패션 잡지 보그의 2025년 8월호에 게스 브랜드가 AI로 생성한 모델을 사용한 광고가 실리면서 패션업계 전반에 걸쳐 강력한 반발이 일어난 것입니다.이번 논란의 핵심은 게스가 실제 모델 대신 완전히 AI로 생성한 가상의 모델을 사용하여 광고를 제작했다는 점입니다. 해당 광고는 보그 잡지의 표지는 물론 내지 페이지에도 대대적으로 게재되었으며, 일반 독자들은 이것이 AI 생성 모델이라는 사실을 쉽게 알아차리기 어려울 정도로 정교하게 제작되었습니다.패션업계의 반발은 즉각적이고 강력했습니다. 모델 에이전시들과 실제 모델들은 이러한 AI 모델 사용이 자신들의 일자리를 직접적으로 위협한다며 강하게 항의했습니다. 특히 신진 모델들에게는 더욱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졌는데, 이미 경쟁이 치열한 패션업계에서 AI라는 새로운 경쟁자가 등장한 셈이기 때문입니다.모델 노조와 관련 단체들은 공식 성명을 통해 "AI 모델 사용은 인간 모델의 존재 가치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행위"라며 강력하게 비판했습니다. 그들은 패션이 단순히 옷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감정과 개성, 그리고 스토리를 전달하는 예술 영역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AI로는 결코 대체할 수 없는 인간만의 고유한 가치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보그 측은 초기에 이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다가, 논란이 커지자 뒤늦게 해명에 나섰습니다. 보그의 편집진은 "혁신적인 기술을 패션업계에 소개하고자 하는 실험적 시도였다"고 설명하며, "앞으로는 AI 사용 여부를 명확히 표기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게스 브랜드 역시 논란이 확산되자 공식 해명에 나섰습니다. 게스 측은 "AI 기술을 활용한 창의적 실험이었으며, 인간 모델을 대체하려는 의도가 아니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향후 AI 사용 시에는 사전에 명확한 고지를 하겠다"고 약속하면서 논란 진화에 나섰습니다.하지만 패션업계의 분노는 쉽게 가라앉지 않았습니다. 여러 모델 에이전시들은 게스와의 협력 중단을 검토하겠다고 발표했으며, 일부 패션 잡지들도 AI 모델 사용에 대한 자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겠다고 나섰습니다.이 사건은 단순한 광고 논란을 넘어 AI 시대에 창작 활동과 노동의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패션업계뿐만 아니라 광고, 영화, 음악 등 다양한 창작 분야에서 AI 기술의 활용이 늘어나면서 인간 창작자들과 AI 기술 사이의 경계선을 어디에 그어야 할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시점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습니다.
333 조회
1 추천
2025.08.07 등록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