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엔비디아와 손잡고 제조업 AI 전환 나서
페이지 정보
본문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네이버가 글로벌 AI 반도체 선두기업 엔비디아와 손잡고 국내 제조업 AI 전환을 위한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에 나선다. 31일 경주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양사의 전략적 협력이 공식화되면서, 한국의 AI 산업 경쟁력 강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소버린 AI 2.0 비전 구현 착수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은 31일 경북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이재명 대통령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 접견에 참석해 양사의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이 의장은 "자동차의 소프트웨어 중심 자동차 전환이 보여주듯 AI가 실제 산업 현장과 시스템 속에서 작동하는 '피지컬 AI'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며 "네이버는 AI와 클라우드 기술로 기업이 데이터를 더 잘 활용하고, 산업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엔비디아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현실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차세대 '피지컬 AI' 플랫폼을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이는 네이버클라우드가 제시한 '소버린 AI 2.0' 비전을 구현하기 위한 첫 단계로 평가된다.
주력 산업 특화 AI 모델 개발
양사는 네이버클라우드의 디지털 트윈·로보틱스 기술과 엔비디아의 '옴니버스', '아이작 심' 등 3D 시뮬레이션·로보틱스 플랫폼을 결합해 산업 환경을 가상 공간에서 정밀하게 재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AI가 분석·판단·제어를 지원하는 피지컬 AI 플랫폼을 구현하며, 반도체·조선·에너지 등 국가 주력 산업을 중심으로 AI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이번 협력을 통해 조선·에너지·바이오 등 주요 산업별 특화 AI 적용 모델을 발굴하고 확산을 주도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네이버는 엔비디아로부터 최신 블랙웰 GPU 6만장을 확보해 AI 컴퓨팅 인프라를 대폭 확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