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뉴스

카카오톡에 챗GPT 탑재, 9월 23일 공식 발표

페이지 정보

작성자 xtalfi
작성일 09.05 16:03
108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6efdac03448aad375ed20147b23918f8Sr7O.jpeg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에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가 탑재될 예정이다. 카카오는 메신저 앱 이탈 없이 채팅 탭에서 직접 챗GPT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 2월 시작된 카카오와 오픈AI 간 전략적 제휴의 첫 결과물이 될 전망이다

 

카카오톡 채팅 탭에 챗GPT 아이콘 탑재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카카오는 카카오톡의 채팅 탭에 챗GPT 아이콘을 탑재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구현할 계획이다. 이용자가 별도 앱을 실행하지 않고도 카카오톡 내에서 특정 버튼을 클릭해 즉시 챗GPT와 대화할 수 있게 된다. 카카오는 또한 카카오톡 채팅방의 '샵(#) 검색' 기능에서도 챗GPT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지난 8월 2분기 실적발표에서 "그동안 AI 서비스 경험이 없던 이용자도 친구와 채팅 중 챗GPT 검색 결과를 공유받거나 하루에도 수십 번 접속하는 핵심 지면에서 챗GPT와 마주하면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9월 23일 '이프 카카오'에서 공식 발표

카카오는 오는 9월 23일부터 25일까지 경기도 용인 카카오 AI 캠퍼스에서 개최되는 연례 개발자 컨퍼런스 '이프 카카오25'에서 오픈AI와의 협업 결과물을 처음 공개할 예정이다. 컨퍼런스 첫날 정신아 대표가 카카오톡 개편과 신규 AI 서비스, 오픈AI 공동 프로덕트를 발표할 계획이다.

정 대표는 "이프 카카오에서 오픈AI와 협업한 실제 제품 형상을 공개할 예정"이라며 "늦어도 다음 실적 발표 전에는 모두가 제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이에 따라 카카오톡의 챗GPT 탑재는 빠르면 11월 전에 이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오픈AI 한국 법인 설립과 시너지

이번 협업은 오픈AI의 한국 진출과도 맞물려 있다. 오픈AI는 지난 5월 한국 법인 설립을 공식 발표했으며, 오는 10일 한국 사무소 공식 출범을 앞두고 있다. 오픈AI 한국 법인은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설치되며, 전 세계 12번째, 아시아에서는 세 번째 거점이다.

한국은 챗GPT 유료 구독자 수 기준으로 미국에 이어 전 세계 2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국내 월간 활성 이용자가 2000만 명을 넘어서는 등 오픈AI에게 중요한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카카오의 월간 활성 이용자는 4930만 명에 달해, 오픈AI는 이번 협력을 통해 한국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크게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카카오 관계자는 "오픈AI와의 협업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형상 일부를 이번 이프카카오에서 공개할 예정"이라며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확인해주기 어렵다"고 밝혔다.

 

댓글 0
전체 192 / 22 페이지
구름 측은 “‘Stack Overflow Developer Survey 2025’의 리서치에 따르면 개발자는 10명중 8명이 이미 업무에 AI 도구를 활용하고 있다”며 “AI 코드 어시스턴트를 사용하는 기업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2023년 초에는 10% 미만에 불과했지만, 2028년에는 75%까지 증가할 전망이며, 이는 곧 AI 활용 능력이 개발자의 필수 역량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개발자가 코딩에 가장 많이 활용하는 LLM은 Claude(42%), ChatGPT(21%), Gemini(16%) 순으로 Claude가 코딩분야에서는 ChatGPT를 제치고 1위로 부상했다. LLM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개발언어는 Python이다.https://www.tech42.co.kr/%ea%b5%ac%eb%a6%84-%ea%b8%80%eb%a1%9c%eb%b2%8c-%ea%b0%9c%eb%b0%9c%ec%9e%90-ai-%ed%99%9c%ec%9a%a9-%ed%8a%b8%eb%a0%8c%eb%93%9c-%eb%b6%84%ec%84%9d-%ec%9d%b8%ec%82%ac%ec%9d%b4%ed%8a%b8%eb%a5%bc-%eb%b3%b4/
319 조회
0 추천
2025.08.21 등록
MIT 연구진이 기업의 생성형 AI 시범사업 중 95%가 수익 창출에 실패했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8일(현지시간) 포춘지에 따르면, MIT 미디어랩 NANDA 이니셔티브가 발표한 '생성형 AI 격차: 2025년 비즈니스 AI 현황' 보고서는 대부분의 기업 AI 프로젝트가 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연구진은 95%의 기업에서 생성형 AI 구현이 부진한 핵심 원인이 AI 모델의 품질이 아니라 도구와 조직 모두의 '학습 격차'에 있다고 분석했다. 경영진들이 종종 규제나 모델 성능을 탓하지만, MIT 연구는 잘못된 기업 통합 방식을 지적했다.생성형 AI 예산의 절반 이상이 영업 및 마케팅 도구에 투입되고 있지만, MIT는 백오피스 자동화에서 가장 큰 투자수익률을 발견했다. 성공적인 AI 배포의 비결은 도입 방식에 있다. 전문 업체로부터 AI 도구를 구매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방식은 약 67%의 성공률을 보인 반면, 내부 개발은 3분의 1 정도의 성공률만을 기록했다.
243 조회
0 추천
2025.08.21 등록
구글 포토에 드디어 음성으로 사진집이 가능해졌습니다. AI 편집기능이 추가된 것입니다."이 사진을 더 좋게 만들어줘"라고 말하면 자동으로 편집해준다고 합니다. 편집 스킬이 부족한 사람들한테 정말 유용한 기능일 것 같습니다.특히 C2PA 표준 도입으로 AI로 편집했는지 원본인지 구분할 수 있게 된 점이 인상적입니다. 딥페이크나 가짜 이미지를 걸러낼 수 있는 기능입니다.구글 픽셀 10(Pixel 10)부터 시작해서 iOS와 안드로이드 구글포토로 점진적을 확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242 조회
0 추천
2025.08.21 등록
- 최근 월 약 28만 원(200달러) 구독료로 800만 원 상당의 토큰을 사용하는 '추론 고래'(Inference whales) 개발자들이 다수 등장.- 일부 헤비유저 때문에 앤트로픽, 바이브 코딩 등 AI 스타트업의 수익성 악화 논란.- 대표적으로 한 사용자는 한 달간 51억 토큰(806만 원치 API 비용)에 달하는 클로드 코드 사용. 상위 169명은 한 달간 2777억 토큰 소비.- 서비스 업체들은 남용 방지 위해 무제한 요금제에 주간 사용량 제한 등 도입, 별도 초과 요금 부과 시작(8/28부터).- 비용 하락에도 최고 모델 수요는 여전히 높으며, AI 활용 워크플로우 확대에 따라 실제 토큰 사용량은 증가.- 전문가들은 "AI 추론 비용 감소가 현실적으로 어렵고, 무제한 요금제는 지속 불가능"이라는 의견 제시
262 조회
0 추천
2025.08.20 등록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