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뉴스

대한민국 국세청, AI를 통해 모든 계좌를 감시, 50만원만 이체해도 증여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08.06 11:39
99 조회
1 추천
0 비추천

본문

5e0133dcd77ec8fa1c57ddf57a74915564ji.jpg

 

2025년 7월 말부터 "국세청이 8월 1일부터 AI로 전 국민 계좌를 실시간 감시하고 가족 간 50만원 송금도 증여세를 부과한다"는 가짜뉴스가 SNS와 유튜브를 통해 폭발적으로 확산됐습니다.

"8월부터 가족 간 계좌 이체 못 합니다" 같은 제목의 유튜브 영상들이 조회수 200만을 넘기며 전국민을 공포에 떨게 만들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가족에게 생활비 송금하는 것조차 두려워하게 된 상황이었죠.

하지만 국세청이 직접 나서서 "이건 가짜뉴스"라고 공식 해명했습니다. 국세청 관계자는 "개인의 소액 거래를 들여다보기 위해 새롭게 가동하는 시스템은 없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

이 소문은 임광현 신임 국세청장이 "AI 탈세 적발 시스템을 고도화하겠다"고 언급한 것을 잘못 이해해서 퍼진 것으로 분석됩니다. 청장의 발언은 기존 세무조사에 AI를 활용하겠다는 중장기 계획이었는데, 이것이 완전히 왜곡된 것이죠.

세무 전문가들도 "친구가 50만원 송금했다고 국세청이 들여다본다는 것은 난센스"라며 "상식선에서의 거래는 우려할 필요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AI 기술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과 SNS의 빠른 전파력이 결합해 전 국민을 혼란에 빠뜨린 대표적인 가짜뉴스 사건이 되었습니다.

댓글 0
전체 111 / 2 페이지
MIT 연구진이 기업의 생성형 AI 시범사업 중 95%가 수익 창출에 실패했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18일(현지시간) 포춘지에 따르면, MIT 미디어랩 NANDA 이니셔티브가 발표한 '생성형 AI 격차: 2025년 비즈니스 AI 현황' 보고서는 대부분의 기업 AI 프로젝트가 기대에 못 미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연구진은 95%의 기업에서 생성형 AI 구현이 부진한 핵심 원인이 AI 모델의 품질이 아니라 도구와 조직 모두의 '학습 격차'에 있다고 분석했다. 경영진들이 종종 규제나 모델 성능을 탓하지만, MIT 연구는 잘못된 기업 통합 방식을 지적했다.생성형 AI 예산의 절반 이상이 영업 및 마케팅 도구에 투입되고 있지만, MIT는 백오피스 자동화에서 가장 큰 투자수익률을 발견했다. 성공적인 AI 배포의 비결은 도입 방식에 있다. 전문 업체로부터 AI 도구를 구매하고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방식은 약 67%의 성공률을 보인 반면, 내부 개발은 3분의 1 정도의 성공률만을 기록했다.
7 조회
0 추천
08.21 등록
구글 포토에 드디어 음성으로 사진집이 가능해졌습니다. AI 편집기능이 추가된 것입니다."이 사진을 더 좋게 만들어줘"라고 말하면 자동으로 편집해준다고 합니다. 편집 스킬이 부족한 사람들한테 정말 유용한 기능일 것 같습니다.특히 C2PA 표준 도입으로 AI로 편집했는지 원본인지 구분할 수 있게 된 점이 인상적입니다. 딥페이크나 가짜 이미지를 걸러낼 수 있는 기능입니다.구글 픽셀 10(Pixel 10)부터 시작해서 iOS와 안드로이드 구글포토로 점진적을 확대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10 조회
0 추천
08.21 등록
- 최근 월 약 28만 원(200달러) 구독료로 800만 원 상당의 토큰을 사용하는 '추론 고래'(Inference whales) 개발자들이 다수 등장.- 일부 헤비유저 때문에 앤트로픽, 바이브 코딩 등 AI 스타트업의 수익성 악화 논란.- 대표적으로 한 사용자는 한 달간 51억 토큰(806만 원치 API 비용)에 달하는 클로드 코드 사용. 상위 169명은 한 달간 2777억 토큰 소비.- 서비스 업체들은 남용 방지 위해 무제한 요금제에 주간 사용량 제한 등 도입, 별도 초과 요금 부과 시작(8/28부터).- 비용 하락에도 최고 모델 수요는 여전히 높으며, AI 활용 워크플로우 확대에 따라 실제 토큰 사용량은 증가.- 전문가들은 "AI 추론 비용 감소가 현실적으로 어렵고, 무제한 요금제는 지속 불가능"이라는 의견 제시
20 조회
0 추천
08.20 등록
이 사업은 공무원이 보안 걱정 없이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활용하도록 관련 플랫폼과 거대언어모델(LLM), 컴퓨팅 자원(GPU 등) 등을 제공하는 게 목적이다. 행안부는 오는 11월 일부 서비스를 시범 제공할 계획이다. 삼성SDS 컨소시엄에 포함된 AI 플랫폼 2종(삼성SDS 패브릭스, 네이버 하이퍼스튜디오)과 LLM 모델 6개를 선정해 우선 서비스한다. 공무원은 이들 가운데 원하는 플랫폼과 LLM을 활용, AI를 업무에 적용해볼 수 있다.-> 우리가 아는 흔한 LLM모델을 쓸 수 있다는 말인가?
12 조회
0 추천
08.20 등록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