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전력 96% 절감 낸드 기술 개발
페이지 정보
본문
삼성전자 가 기존 낸드플래시 대비 전력 소모를 최대 96% 절감할 수 있는 차세대 메모리 기술을 개발해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27일 게재했다.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가 급증하는 가운데, 이번 기술은 고용량과 저전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해법을 제시했다는 평가다.
강유전체와 산화물 반도체 융합으로 난제 해결
삼성전자 SAIT(옛 삼성종합기술원)와 반도체연구소 소속 연구진 34명은 '저전력 낸드플래시 메모리용 강유전체 트랜지스터'(Ferroelectric transistors for low-power NAND flash memory) 논문을 통해 이 기술의 핵심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기존 낸드플래시는 저장 용량을 늘리려면 읽기·쓰기 전력 소모가 함께 증가하는 구조적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산화물 반도체의 고유 특성을 강유전체 기반 낸드플래시와 융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일반적으로 고성능 소자에서는 약점으로 여겨졌던 산화물 반도체의 문턱 전압 특성이 강유전체 구조에서는 오히려 전력 절감에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점을 발견한 것이다.
그 결과 셀 스트링 동작에서 전력 소모를 최대 96% 절감하면서도 현존 최고 수준인 셀당 5비트(bit)의 고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네이처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새로운 강유전체 트랜지스터는 패스 전압을 거의 0에 가깝게 낮춘 상태에서도 현재 상용화된 낸드 기술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성능을 보였다.
AI 시대 전력 효율 경쟁 본격화
이번 기술은 AI 서버와 데이터센터의 전력 효율성이 중요해지는 시점에 나왔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해당 기술이 상용화되면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부터 모바일·엣지 AI 시스템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전력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글로벌 낸드 시장 매출은 2024년 656억 달러에서 2029년 93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하고, 같은 기간 비트 출하량은 연평균 17.7% 증가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2025년 3분기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53억6600만 달러 매출과 29.1% 시장 점유율로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번 연구의 제1저자인 유시정 삼성전자 SAIT 연구원은 "초저전력 낸드플래시의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게 되어 뿌듯하다"라며 "AI 생태계에서 스토리지의 역할이 더욱 커지고 있는데, 향후 제품 상용화를 목표로 후속 연구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