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핀테크 업계, AI 혁신 속도 늦추는 규제 문제 제기
페이지 정보
본문
26일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개막한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5'에서 금융권의 인공지능(AI) 대전환 의지와 함께 이를 가로막는 규제 과제가 동시에 부각됐다. 이억원 금융위원장은 개막식에서 "금융권의 AI 대전환이 대한민국 신성장 동력의 첨병이 될 것"이라며 150조원 규모의 국민성장펀드 조성과 금융권 AI 플랫폼 구축을 통해 혁신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AI 서비스 경쟁 본격화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 뱅크샐러드 등 주요 핀테크 기업들은 이번 행사에서 AI 기반 맞춤형 금융 서비스를 대거 선보였다. 네이버페이는 18일 출시한 오프라인 통합 단말기 'Npay 커넥트'를 통해 얼굴인식 결제 '페이스사인'과 상권 분석 서비스를 제공한다. 카카오페이는 AI 금융비서 '페이AI'로 건강 데이터 기반 보험 분석과 소비 패턴 분석을 통한 맞춤형 혜택 제안 서비스를 선보였다. 토스는 '페이스페이'와 함께 생활 데이터를 분석한 '건강생활점수'를 내세웠고, 뱅크샐러드는 마이데이터 AI 에이전트 '토핑+'를 공개해 내년 정식 출시를 예고했다.
규제가 발목 잡는 혁신
그러나 금융권의 AI 도입은 규제 장벽에 직면해 있다. GPT-4 기반 서비스를 구축한 금융사들은 GPT-5.1 등 최신 모델로 업데이트하려면 혁신금융서비스 재승인을 받아야 하며, 이 과정에 최대 120일이 소요된다. 한 금융사 AI 담당 임원은 "단순 모델을 바꾸는 것까지 개별적으로 승인받는 건 지나치게 비효율적"이라고 지적했다. 망분리 규제도 여전히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2024년 8월 망분리 규제를 완화하면서 최근 2년간 AI 혁신금융서비스가 200건에 육박했지만, 전문가들은 물리적 망 제한의 추가 완화와 민간 주도의 자율규율 기반 위험관리 체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국제금융센터는 최근 보고서에서 "AI 설명가능성 관련 현실적 접근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며 완벽한 설명가능성보다 설명 불가능성을 AI의 본질적 리스크로 인정하는 규제 개선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