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민, AI 배차 도입에 라이더 소득 29% 증가 주장
페이지 정보
본문

배달의민족이 새로운 AI 배차 시스템 '로드러너' 도입을 둘러싼 논란 속에서 라이더 월평균 소득이 29% 증가했다는 데이터를 공개하며 시스템 확대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라이더와 자영업자들은 하루 전 대규모 집회를 열고 전면 폐기를 요구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배민의 물류서비스를 전담하는 우아한청년들은 26일 로드러너 시범운영 지역인 화성시에서 주평균 40시간 이상 활동하는 전업 라이더의 월평균 소득이 424만원으로, 도입 이전 6개월의 329만원 대비 29%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인근 도시(수원·평택·용인) 전업 라이더의 월평균 수입 319만원보다 33% 높은 수치다.
우아한청년들 관계자는 "기존 배달앱 대비 로드러너의 안정적인 배차와 운행동선 개선 효과로 라이더의 배달효율성이 향상되고 전반적인 라이더 수익이 향상됐다"고 설명했다.
라이더·자영업자 1천여명 집회로 맞서
이 발표는 로드러너 도입 반대 집회가 열린 다음 날 나와 주목된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라이더유니온지부와 공정한플랫폼을위한사장협회 등은 25일 서울 송파구 배민 본사 앞에서 1천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배민 로드러너 도입저지 공동투쟁 대회'를 개최했다.
구교현 라이더유니온지부장은 "정확한 기준도 모르는 등급에 시간당 배달 건수, 수락률이 반영된다니 무턱대고 과속하며 충성 경쟁만 할 수밖에 없다"며 "실제 수입 증가가 일어났다면 그건 라이더가 자기 몸을 갈아넣은 결과일 것"이라고 비판했다.
로드러너는 배민 모회사인 독일 딜리버리히어로(DH)가 개발한 AI 기반 배차 시스템으로, 라이더가 사전에 근무 일정을 등록하면 AI가 자동으로 배달 건을 배차한다. 기존 배민커넥트와 달리 8단계 등급제를 적용해 높은 등급의 라이더가 좋은 시간대를 우선 선택할 수 있다.
등급제·수수료 유출 우려 확산
라이더들은 등급 산정 기준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아 위험 운전이 증가하고, 저등급 라이더는 일할 기회조차 얻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자영업자들은 주문 가능 거리가 일방적으로 제한돼 매출이 감소했다고 호소했다.
박정훈 공공운수노조 부위원장은 "로드러너를 전국으로 확대하는 이유는 모회사 딜리버리히어로에 막대한 로열티를 보내기 위한 것"이라며 "착취를 강화해 이윤을 빼먹으려는 시도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민은 올해 4월부터 경기 오산·화성 지역에서 로드러너를 시범 도입했으며, 제주 도입은 현장 반발로 연기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