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AI 안대 기기로 첫 CES 어워드 수상
페이지 정보
본문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LG생활건강은 화요일 자사의 웨어러블 뷰티 기기인 하이퍼 리쥬버네이팅 아이 패치(Hyper Rejuvenating Eye Patch)가 뷰티 테크 부문에서 CES 2026 혁신상을 수상했다고 발표했으며, 이는 세계 최대 소비자 가전 전시회에서 동사가 받은 첫 번째 수상이다. 이번 수상은 뷰티 브랜드들이 인공지능과 웨어러블 기술을 스킨케어 솔루션에 점점 더 통합하고 있는 가운데 이루어졌다.
이 기기는 AI 기반 피부 분석, 생체 모방 패치 기술, 그리고 제어된 LED 광 치료를 결합하여 눈가의 노화 징후를 타겟으로 한다. 60,000명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AI 기반 진단 프로그램을 통해 주름, 색소 침착 및 다크서클을 분석한 후, 맞춤형 화장품 성분을 추천하고 문어 흡반을 모방한 음압 패치를 통해 전달한다.
문어에서 영감을 받은 기술
이 기기의 핵심은 성균관대학교 교수가 설립한 스타트업 Mimetics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개발된 음압 패치입니다. Nature 및 ACS Nano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문어 빨판의 원리를 사용하여 피부 손상 없이 흡수를 강화하는 이 패치 기술은 기존 화장품보다 5~6배 높은 흡수율을 자랑합니다. 이 기술은 4월 LG생활건강의 럭셔리 브랜드 The History of Whoo에서 Skin Activator Patch라는 이름으로 처음 시장에 출시되었습니다.
핸즈프리 밴드형 기기는 또한 1mm 미만 두께의 유연한 LED 패치를 통합하여 더 깊은 피부층에 최적화된 광 치료를 제공합니다. 공식 CES 설명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눈 주위 영역을 마이크로 존으로 세분화하고 개인 피부 분석을 기반으로 정밀하게 제어된 광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광범위한 뷰티 테크 추진
이번 수상은 LG생활건강이 스킨 롱제버티(Skin Longevity) 이니셔티브 하에 개인 맞춤형 뷰티 기술에 대한 집중을 확대하고 있음을 반영한다. 강내규 최고기술책임자(CTO)는 회사가 "미래 뷰티 기술 연구를 통해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와 개인 맞춤형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통합할 것"이라고 밝혔다.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에 발표된 최근 연구는 연령과 유전적 소인 모두를 기반으로 맞춤화를 가능하게 하는 6가지 주요 노화 지표와 10가지 유전 바이오마커를 확인했다.
LG생활건강은 AI 뷰티 기술 분야에서 경쟁에 직면해 있다. 아모레퍼시픽은 MIT와 함께 개발한 전자 피부 플랫폼으로 노화 원인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스킨사이트(Skinsight)로 올해 7년 연속 CES 혁신상을 수상했다.
CES 2026 혁신상 프로그램은 36개 부문에서 3,600개 이상의 출품작을 접수했으며, AI, 디지털 헬스, 지속가능성 부문이 가장 많은 출품작을 받았다. 수상자들은 1월 6일부터 9일까지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6에서 자사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