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기업 82%, AI 활용 못해…자금·인재·효과성 3중고
페이지 정보
본문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8곳 이상이 인공지능(AI)을 경영에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금 부족과 인재난, 효과성에 대한 불확실성이라는 3중고가 AI 전환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국내 504개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82.3%가 ‘AI를 경영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고 17일 밝혔다. 특히 대기업의 AI 활용도가 49.2%인 데 반해 중소기업은 4.2%에 불과해 규모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부담에 인재 확보도 난항
AI 투자비용 부담을 묻는 질문에 기업의 73.6%가 “부담이 된다”고 응답했다. 규모별로는 중소기업(79.7%)이 대기업(57.1%)보다 부담을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의 한 제조업체는 “생산공정만 AI로 전환하려 해도 라벨·센서 부착, CCTV 설치, 데이터 정제, 로봇 운영을 위한 맞춤형 솔루션 구축, 관련 인력 투입 등 예상하지 못한 자금이 들어간다”고 토로했다.
인재 확보는 더욱 심각한 문제다. ‘AI 활용 전문인력이 있는가’라는 질문에 80.7%가 “없다”고 답했으며, 82.1%는 “AI 인력을 충원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보고서는 “한국의 AI 인재는 2만1000명 수준으로 중국(41만1000명), 인도(19만5000명), 미국(12만명)에 비해 턱없이 적다”며 “그나마 있는 인재도 빠져나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스탠퍼드 인간중심AI연구소(HAI)가 올해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AI 인재 순이동은 -0.36으로 인재 순유출국에 해당한다.
단계별 맞춤 지원 필요
효과성에 대한 확신 부족도 AI 도입을 가로막고 있다. ‘AI 전환이 성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는가’라는 질문에 60.6%가 “효과가 미미할 것”이라고 답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주요 7개국(G7) 및 브라질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투자 수익률 추정의 어려움’이 AI 도입의 장애 요인으로 지목된 바 있다.
대한상의는 AI 활용도가 높은 기업에는 GPU·클라우드 인프라 지원 등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 자율성을 확대하고, AI 도입률이 낮은 기업에는 도입 전·중·후 단계별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부는 제조AX 얼라이언스를 통해 2030년까지 AI 팩토리를 500개 이상 구축하는 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지금은 AI에 대한 미래 조감도를 정교하게 만드는 데 주력하기보다는 실제 데이터 축적과 활용, 인재 영입 등에 뛰어들어야 하는 시점”이라며 “강력한 지원, 파격적인 규제 혁신을 담은 선택과 집중의 메가 샌드박스 실행전략이 맞물려 돌아가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