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5000억달러 AI 칩 주문 확보 공개
페이지 정보
본문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젠슨 황이 2025년과 2026년을 합쳐 총 5000억달러(약 700조원) 규모의 AI 칩 주문을 확보했다고 밝히며 인공지능 투자 붐이 여전히 강력하다는 신호를 보냈다.
황 CEO는 지난 10월 워싱턴 D.C.에서 열린 GTC 콘퍼런스에서 “현재 장부에 올라와 있는 주문이 5000억달러에 달한다”고 공개했다. 이 주문에는 2025년 매출과 현재 출하 중인 블랙웰(Blackwell) GPU, 2026년 출시 예정인 루빈(Rubin) GPU, 그리고 네트워킹 장비 등이 포함됐다.
울프 리서치의 크리스 카소 애널리스트는 이번 공개가 2026년 데이터센터 매출이 기존 전망치보다 약 600억달러 높을 것임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카소 애널리스트는 “엔비디아의 공개 내용은 현재 시장 컨센서스 대비 명확한 상승 여력을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실적 발표 앞두고 긴장감 고조
엔비디아는 19일(현지시간) 2026 회계연도 3분기 실적을 발표한다. 시장은 매출 549억달러, 주당순이익 1.25달러를 예상하고 있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56% 증가한 수치다.
그러나 17일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전장 대비 1.8% 하락 마감했다. 최근 소프트뱅크와 피터 틸 등 주요 투자자들이 보유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대규모 계약으로 미래 성장 기반 확보
엔비디아는 9월 오픈AI(OpenAI)와 최대 1000억달러 규모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 계약에 따라 오픈AI는 최소 10기가와트 규모의 데이터센터를 구축하며, 수백만 개의 엔비디아 GPU를 도입할 예정이다.
구글(Google [GOOG +3.11%]), 아마존(Amazon [AMZN -0.78%]),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MSFT -0.53%]), 메타(Meta [META -1.22%])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도 모두 AI 인프라 투자 확대를 발표했다. 모건스탠리는 하이퍼스케일러들의 자본 지출이 2026년 약 5500억달러로 24%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한국 정부와 삼성전자 [SSUN.F -4.07%], SK그룹, 현대자동차 [005380.KS -2.58%]는 10월 각각 최대 5만개의 블랙웰 GPU를 도입하기로 했으며, 네이버 [035420.KS -2.35%]는 6만개 이상을 구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