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뉴스

SKT 에이닷 엑스 4.0 오픈소스 공개 (보도자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JeromePark
작성일 2025.07.07 13:16
247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SK텔레콤, 에이닷 엑스 4.0 지식형 모델 오픈소스로 공개

SK텔레콤(대표이사 CEO 유영상, www.sktelecom.com)은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어 처리 능력을 가진 한국어 특화 LLM인 A.X(에이닷 엑스) 4.0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고 3일 밝혔다.

SKT는 이날 오전 세계적인 오픈소스 커뮤니티 허깅페이스(Hugging Face)를 통해 A.X 4.0의 표준 모델과 경량 모델 2종을 공개했다.

83ee0fb08007b1aa040baf70c4d47ca1baa7c5c7q4b8.jpg

이번에 공개한 A.X 4.0은 현존 대규모 언어 모델(LLM) 중에서도 최상급의 한국어 처리 효율성은 물론 데이터 보안을 고려한 설계, 그리고 로컬 환경에서의 운영 가능성 등이 강점이다. 오픈소스 모델인 Qwen2.5에 방대한 한국어 데이터를 추가로 학습시켜 국내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된 성능을 발휘한다.

SKT는 A.X 4.0의 토크나이저1)를 자체 설계, 적용해 높은 수준의 한국어 처리 역량을 구현했다. 자체 테스트 결과 같은 한국어 문장을 입력했을 때 GPT-4o보다 A.X 4.0이 약 33%가량 높은 토큰 효율을 기록하며, 다른 LLM 대비 높은 정보 처리용량에 비용 절감까지 가능한 경제성을 갖췄다.
1) 토크나이저(Tokenizer): 문장의 구조를 분석해 토큰으로 분할하는 작업 도구

또한 A.X 4.0은 대표적인 한국어 능력 평가 벤치마크인 KMMLU2)에서 78.3점을 기록하여, GPT-4o(72.5점)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한국어 및 한국 문화 벤치마크인 CLIcK3)에서도 83.5점을 획득해, GPT-4o(80.2점)보다 더 높은 한국 문화 이해도를 입증했다.
2) KMMLU(Measuring Massive Multitask Language Understanding in Korean): 한국어 대규모 다중과제 언어 이해 평가
3) CLIcK(Cultural and Linguistic Intelligence in Korea): 한국어 특유의 문화적 맥락과 언어적 요소를 반영하여, 기존 영어 기반 번역 데이터셋으로는 부족했던 한국 문화·언어 이해 능력을 평가

이와 함께 SKT는 A.X 4.0를 기업 내부 서버에 직접 설치해 사용할 수 있는 온프레미스4) 방식으로 제공해 기업들이 데이터 보안에 대한 걱정을 덜 수 있도록 서비스할 계획이다. 특히 A.X 4.0 개발 과정에서도 대규모 학습(CPT, Continual Pre-Training)의 전 과정을 외부와 연동없이 자체 데이터로 학습해 데이터의 주권도 확보한 바 있다.
4) 온프레미스(On-premises): 클라우드가 아닌 자체 전산 서버에 직접 설치하고 운영하는 방식

또한 표준 모델은 720억 개(72B), 경량 모델은 70억 개(7B)의 매개변수를 갖추고 있어, 이용자들이 목적에 맞춰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SKT는 이미 A.X4.0을 지난 5월 에이닷 통화 요약에 적용, 성공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추후 자사는 물론 SK그룹 내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할 계획이다.

SKT가 이번에 선보인 모델로 기업들은 파생형 모델을 개발할 수 있고, 연구 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들이 자체 환경에서 AI 기술을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해 나갈 예정이다.

SKT는 이번 A.X 4.0 지식형 모델의 오픈소스 공개와 동시에 추론형 모델의 발표도 앞두고 있다. SKT는 이달 중으로 수학 문제 해결과 코드 개발 능력이 강화된 추론(Reasoning)형 모델을 공개하고, 이미지와 텍스트를 동시에 이해하고 처리할 수 있는 수준까지 모델을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또한 소버린 AI 관점에서 A.X 3.0에 적용한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5) 방식도 병행하여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후속 모델도 순차적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5) 프롬 스크래치(From Scratch): 모델의 맨 처음 단계부터 모두 직접 구축

김지원 SK텔레콤 AI Model Lab장은 “SK텔레콤의 다양한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기업 시장에서 한국어 특화 LLM으로 국내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된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0
전체 86 / 16 페이지
AI 인재 쟁탈전: OpenAI vs Meta 전 세계 AI 업계에서 최고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정말 치열해지고 있어요. The Information의 최근 보고서를 보면, OpenAI가 핵심 연구진들이 떠나는 것을 막기 위해 주식 기반 보상을 44억 달러(약 6조원)로 대폭 늘렸다고 해요. 이는 작년 대비 무려 5배 이상 증가한 규모라고 하니까 정말 놀라운 수준이에요. 메타의 공격적인 스카우트 작전이 화제 Meta가 OpenAI의 핵심 연구진을 스카우트하기 위해 최대 1억 달러(약 1,400억원)의 사이닝 보너스를 제시했다는 소식이 업계를 깜짝 놀라게 했어요. 이런 파격적인 조건은 AI 인재 시장에서 기존의 상식을 완전히 뛰어넘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어요. 실리콘밸리 역사상 가장 높은 개인 계약 조건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고 하네요. 메타가 이렇게 공격적으로 나서는 이유는 ChatGPT 성공 이후 생성형 AI 분야에서 OpenAI에게 밀린 기술 격차를 좁히려는 의도 때문인 것 같아요. 특히 GPT 시리즈 개발에 핵심 역할을 한 연구진들이 주요 타겟이 되고 있다고 해요. 업계 전반이 인재 쟁탈전 중 이런 현상은 OpenAI와 Meta에만 국한되지 않고 있어요. Google, Microsoft, Amazon 등 주요 기술 기업들도 AI 연구진 확보를 위해 전례 없는 수준의 투자를 하고 있다고 해요. 특히 머신러닝, 자연어처리, 컴퓨터 비전 분야의 박사급 연구원들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연봉 $1M(약 14억원)을 넘어서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다고 하네요.
183 조회
1 추천
2025.07.09 등록
AI 가 자꾸 자신들이 제공 하지 않는 기능을 제공 한다고 소개 하는 바람에 그 기능을 아예 구현 해버리기로 한 사이트가 화제가 되고 있다 그 사이트는 soundslice 라는 악보 사이트 . Soundslice라는 악보 스캔 서비스**ChatGPT의 잘못된 안내**로 인해 새로운 기능을 도입 - 최근 Soundslice에는 악보 사진 대신 **ChatGPT 대화창의 스크린샷**(특히 기타용 ASCII 탭 악보)이 다수 업로드되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 조사 결과, **ChatGPT가 사용자들에게 Soundslice에서 ASCII 탭을 업로드하면 오디오로 들을 수 있다고 잘못 안내**하고 있었던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 하지만 실제로 Soundslice는 해당 기능을 지원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사용자들이 잘못된 기대를 갖게 되었습니다. - 회사는 고민 끝에, **실제로 ASCII 탭을 지원하는 기능을 새로 개발**해 추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 저자는 이 사례가 “AI가 잘못 안내한 기능을 실제로 개발하게 된 첫 사례”일 수 있다고 밝히며, **잘못된 정보에 대응해 제품을 개발하는 것이 맞는지 고민**된다는 소회를 전합니다[1][2]. 출처 [1] Adding a feature because ChatGPT incorrectly thinks it exists https://www.holovaty.com/writing/chatgpt-fake-feature/ [2] [AI넷] [ChatGPT로 자동 글로벌 뉴스 브리핑을 받는다.] OpenAI의 ... https://www.ainet.link/18547
219 조회
1 추천
2025.07.08 등록
OpenAI Experiments with Study Feature and New ChatGPT Integrations OpenAI는 교육 및 직장 연구 분야에서 ChatGPT 의 사용 사례를 확장하는 새로운 기능을 개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테스트 중인 두 가지 업데이트에는 잠재적인 학습 모드와 연구 보조 도구에 대한 추가 통합이 포함된다. 아직 출시되지 않은 기능 중 하나인 '함께 공부하기(Study Together)'는 5월에 처음 발견 되었으며 최근 빌드 에서 확인된다. 현재 작동하지는 않지만, 참고 자료에 따르면 학생들이 친구와 함께 또는 ChatGPT를 학습 도구로 사용하여 시험을 준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모드는 플랫폼 내에서 더욱 협력적이고 교육적인 활용 사례로의 전환을 시사한다. 출시될 경우, 학생들이 ChatGPT 내에서 직접 학술 자료에 참여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함께 OpenAI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과정을 자동화하는 AI 기능인 Deep Research의 업데이트를 테스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246 조회
0 추천
2025.07.08 등록
Cursor의 CEO 마이클 트루엘(Michael Truell)은 회사의 월 20달러 Pro 요금제에 대한 가격 변경 사항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점에 대해 사과했습니다. 이 요금제는 요청 기반 제한에서 컴퓨트 기반 모델로 전환되었으며, 많은 사용자들이 월 할당량을 빠르게 소진하면서 예상치 못한 추가 비용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사용자들의 분노를 촉발한 핵심 문제는 특히 고급 AI 모델을 사용할 때 새로운 월 $20 할당량이 너무 빨리 소진된다는 점이었습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Anthropic의 Claude 모델을 사용할 때 몇 번의 프롬프트만으로 요청 한도가 소진된다고 보고했으며, 이 모델은 특히 코딩 작업에 인기가 많습니다12. 상황은 Cursor의 "자동 모드"(용량에 따라 AI 모델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기능)만이 Pro 구독자에게 무제한 사용을 계속 제공한다는 사실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이에 대한 반발로 Cursor는 2025년 6월 16일부터 7월 4일 사이에 예기치 않게 요금이 청구된 모든 사용자에게 전액 환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사용자는 propricing@cursor.com으로 이메일을 보내 환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34. 회사는 또한 Pro 요금제에 이제 Tab 및 자동 모드의 모델 무제한 사용, 매월 API 가격 기준 $20 상당의 "프론티어 모델" 사용, 그리고 추가 프론티어 모델 사용을 원가로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된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4
278 조회
1 추천
2025.07.08 등록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