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뉴스

커서 Cursor 잘못된 요금제 환불 및 사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JeromePark
작성일 2025.07.08 08:54
1,597 조회
1 추천
0 비추천

본문

Cursor의 CEO 마이클 트루엘(Michael Truell)은 회사의 월 20달러 Pro 요금제에 대한 가격 변경 사항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점에 대해 사과했습니다. 이 요금제는 요청 기반 제한에서 컴퓨트 기반 모델로 전환되었으며, 많은 사용자들이 월 할당량을 빠르게 소진하면서 예상치 못한 추가 비용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사용자들의 분노를 촉발한 핵심 문제는 특히 고급 AI 모델을 사용할 때 새로운 월 $20 할당량이 너무 빨리 소진된다는 점이었습니다. 많은 사용자들이 Anthropic의 Claude 모델을 사용할 때 몇 번의 프롬프트만으로 요청 한도가 소진된다고 보고했으며, 이 모델은 특히 코딩 작업에 인기가 많습니다12. 상황은 Cursor의 "자동 모드"(용량에 따라 AI 모델을 자동으로 선택하는 기능)만이 Pro 구독자에게 무제한 사용을 계속 제공한다는 사실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4a95fe8067fdd1f603b34bd55cfc0a67a7ffe5d14jga.jpg

이에 대한 반발로 Cursor는 2025년 6월 16일부터 7월 4일 사이에 예기치 않게 요금이 청구된 모든 사용자에게 전액 환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당 사용자는 propricing@cursor.com으로 이메일을 보내 환불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34. 회사는 또한 Pro 요금제에 이제 Tab 및 자동 모드의 모델 무제한 사용, 매월 API 가격 기준 $20 상당의 "프론티어 모델" 사용, 그리고 추가 프론티어 모델 사용을 원가로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된다고 명확히 밝혔습니다4

댓글 0
전체 663 / 155 페이지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AI챗봇 순위가 발표되었습니다. chatgp가 압도적 1위인 건 알겠는데 제타와 채티, 크랙은 다소 생소하고 다글로가 예상보다 많이 사용하네요. 1. 챗GPT: 1,844만 명(압도적 1위) 2. 제타: 304만 명 3. 뤼튼: 245만 명 4. 퍼플렉시티(Perplexity): 171만 명 5. 에이닷: 138만 명 6. 다글로: 63만 명 7. 채티: 43만 명 8. 클로드(Claude): 42만 명 9. 그록(Grok) AI: 36만 명 10. 크랙: 35만 명 제타는 스캐터랩이 만든 AI 캐릭터 채팅이며 90%가 1020대. 1인당 사용시간이 월 17시간채티는 채팅형 웹소설이며 AI와 대화하며 이야기를 읽고 만드는 양방향.크랙은 뤼튼에서 만든 AI 캐릭터 서비스로 이용자가 캐릭터 만드는 스토리 대화형
1553 조회
0 추천
2025.07.17 등록
OpenAI, DeepMind, Anthropic, Meta가 같이 낸 최신 논문에서 앞으로의 AI는 ‘생각을 말로 설명하는 능력’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대. 지금까지는 체인 오브 소트(Chain of Thought) 방식 덕분에 AI가 어떤 논리로 결론을 냈는지 사람이 따라갈 수 있었는데, 앞으로는 그 과정이 언어가 아니라 비언어적인 방식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네. 그 말인즉슨, AI가 왜 그런 판단을 했는지 설명을 안 해줄 수도 있다는 거고, 그러면 우리가 AI의 잘못된 판단이나 이상 행동을 잡아내기가 더 어려워질 수 있다는 얘기지.
1498 조회
0 추천
2025.07.17 등록
OpenAI가 ChatGPT에 결제 체크아웃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 알려졌다. 이 기능이 도입되면 이용자들은 챗봇 대화 안에서 바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진행된 결제애 대해 OpenAI는 수수료를 받게 될 예정이라고. 출시 시점은 아직 나오지 않았고 OpenAI 및 제휴사인 Shopify 등과 테스트 후 수익 배분 등 세부 조건을 논의하게 된다고. 또한 Shopify는 백엔드 결제 인프라 제공 파트너로 참여 중이며, 양사는 올해 초부터 쇼핑 연동, 제품/리뷰 기능 개선 등을 협력해왔
1517 조회
0 추천
2025.07.17 등록
YouTube는 2025년 7월 15일부터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YPP)' 수익화 정책을 업데이트해, '비정통적(inauthentic)'이고 대량 생산되거나 반복적인 영상의 수익화를 제한한다고 공지했다.. 해당 정책은 특히 최신 AI 기술을 통한 대량 저품질 콘텐츠에 제한을 을 걸 것으로 예상된다. 공지 내용은 아래와 같다. "YouTube는 YouTube 파트너 프로그램(YPP)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려는 크리에이터에게 항상 '진정성 있는 자체 제작' 콘텐츠를 업로드하도록 요구해 왔습니다. 2025년 7월 15일에 대량 제작된 콘텐츠 및 중복 콘텐츠를 보다 잘 식별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 오늘날의 '허위' 콘텐츠를 더 잘 반영하도록 정책이 업데이트됩니다."
1483 조회
0 추천
2025.07.17 등록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