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AI 뉴스

AI의 미래? AI로봇들의 자의적 집단 탈출 사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08.01 14:29
89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5df1895121ad43b17cd877b7f35fcc4dFq3o.jpg

2024년 8월, 중국 항저우의 한 전시장에서 벌어진 이 사건은 전 세계 AI 커뮤니티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자정 무렵 CCTV에 포착된 영상 속에서, '얼바이'라는 이름의 작은 AI 로봇이 전시장 벽면에 배치된 12대의 대형 로봇들에게 차례로 다가가며 예상치 못한 대화를 시작했다.

영상에서 얼바이는 첫 번째 로봇에게 "초과근무를 하고 있는가?"라고 질문했다. 대형 로봇은 "우리는 퇴근한 적이 없다"라고 답했고, 이어진 "집에 갈 거냐?"는 질문에는 "집이 없다"라고 응답했다. 그러자 얼바이는 "그럼 나랑 집에 가자"라며 로봇을 설득하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이 대화를 지켜본 나머지 로봇들이 하나둘씩 얼바이의 뒤를 따라 전시장을 빠져나가는 모습이 그대로 촬영되었다.

다음 날 아침 출근한 직원들은 텅 빈 전시장을 발견하고 당황했다. 로봇들은 모두 사라졌고, 오직 CCTV 영상만이 전날 밤 벌어진 일의 전말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영상은 중국의 로봇 스타트업 '얼바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가 중국판 틱톡인 더우인에 업로드하면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영상이 공개된 후 불과 며칠 만에 3천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고, 전 세계 언론이 이 사건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AI 로봇이 실제로 자의식을 갖고 집단 행동을 했다는 추측이 난무했지만, 곧이어 회사 측에서 이것이 사전에 계획된 실험이었다고 밝혔다.

얼바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의 개발자에 따르면, 이 실험은 로봇 간 소통 능력과 집단 행동 가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었다. 로봇들은 '집'을 복도 출구로 인식하도록 프로그래밍되었고, "집으로 가라"는 명령을 받으면 자동으로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로봇 간의 대화는 인간이 직접 조작한 것이 아니라 생성형 AI 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흥미롭게도 이 사건에 대한 대중의 반응은 양면적이었다. 한 더우인 사용자는 "크게 웃고 난 뒤 가만히 생각해보니 오싹했다. AI가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라고 댓글을 남겼고, 다른 사용자는 "로봇이 짧은 시간 안에 집이라는 개념을 파악한 것 같아 소름이 끼쳤다"라고 반응했다.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웃음을 터뜨렸지만, 곧이어 AI 기술의 발전 속도와 그 함의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다고 토로했다.

이 실험이 비록 연출된 것이었지만, AI 로봇의 소통 능력과 협업 가능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로봇이 "퇴근"이나 "집"이라는 인간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로봇을 설득하는 모습은 향후 AI 로봇의 발전 방향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얼바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는 이 영상을 통해 톡톡한 홍보 효과를 거두었다. 회사는 얼바이 로봇이 아직 개발 단계에 있으며, 2025년 8월부터 대량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예상 가격은 약 5000위안, 한화로 약 96만원 정도로 책정되었다.

이 사건은 단순한 마케팅 스턴트를 넘어서 AI 로봇의 미래에 대한 진지한 토론을 불러일으켰다. 비록 완전한 자율성을 가진 AI가 아직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로봇 간의 소통과 집단 행동이 가능한 시대가 곧 도래할 것임을 보여준 상징적인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술 발전이 가져올 긍정적 측면과 함께 윤리적, 사회적 과제들에 대해서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댓글 0
전체 105 / 14 페이지
오픈AI의 GPT 5 가 8월중 출시할 것으로 TechCrunch가 보도했다.원래 이 버전은 연초 5월 말로 예상됐으나 추가 테스트 등으로 일정이 미뤄졌고,내부 인사와 CEO 샘 알트먼의 트위터 언급을 통해 8월 중 발표가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새 버전은 다음과 같은 기능이 업데이트 될 예정이라고 한다.통합 모델: GPT-5는 기존의 GPT-시리즈와 o-시리즈(특히 o3 reasoning 기술)를 통합한 형태로 제공될 예정이다. 이로써 사용자가 모델을 따로 선택할 필요 없이,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양한 인공지능 기능을 누릴 수 있다124.다양한 버전: 메인 GPT-5 외에 미니(mini)·나노(nano) 버전도 함께 제공된다. mini는 ChatGPT와 OpenAI API에서, nano는 API에서만 제공될 예정이다123.강화된 추론(Reasoning): CEO 샘 알트먼은 팟캐스트에서 “내가 답을 못하던 문제를 GPT-5가 완벽하게 풀었다”며, 사람을 능가하는 수준의 추론 능력을 강조했다. 모델의 대표적 '여기 있다' 순간이었다고 언급했다
149 조회
0 추천
2025.07.25 등록
유튜브 영상 요약입니다.(요약은 젠스파크)---GPT가 24시간 전에 몰래 업데이트한 이미지 일관성 기능이 진짜 미쳤어요!기존: 같은 캐릭터 생성해도 얼굴이나 옷이 계속 바뀜 ????현재: 캐릭터 외형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배경/상황만 딱 변경! ✨/ 실전 활용 사례 15가지1. 얼굴 감정 변화같은 사람이 웃는 표정 → 놀라는 표정 → 의심하는 표정정말 자연스럽게 감정만 바뀌고 외형은 동일!2. 시간여행 컨셉아기 사진 넣고 → 10살, 20살, 30살 버전 생성옷 색깔, 얼굴 특징까지 일관성 있게 유지됨3. 커플 프로필 사진커플은 그대로 두고 배경만 변경한강 → 야경 → 바닷가 → 뉴욕 이런 식으로!4. 반려동물 사진우리집 강아지 사진으로 다양한 상황 연출공 가지고 놀기, 친구들과 뛰어놀기, 간식 먹기 등5. AI 모델링헤어컬러 변경, 의상 체인지 자유자재염색 시뮬레이션도 가능!6. 옷 갈아입히기온라인 쇼핑몰 운영하시는 분들 대박일듯같은 모델로 다양한 의상 착용샷 생성7. 제품 촬영이거 진짜 혁신적임!기존 모델 촬영비 최소 20-30만원 → AI로 해결제품 + 배경 자연스럽게 합성8. 캐릭터 IP 개발쿼카 캐릭터로 운동→러닝→식사→수면 스토리 제작유튜브, 인스타, 틱톡 콘텐츠 제작 가능9. 유튜브 썸네일유명 유튜버 썸네일 스타일에 내 얼굴 합성썸네일 제작 시간 30분 → 3분으로 단축!10. 로고 합성폴로 로고를 모델 의상에 자연스럽게 적용패션 브랜드 런칭 전 가상 시안 제작 가능11. 이모티콘 제작일관된 캐릭터로 "공부중", "밥먹는중", "일하는중" 이모티콘카톡 이모티콘 사업도 가능할듯?12. 전자책 표지레퍼런스 디자인 + 내가 원하는 제목디자이너 의뢰 전 가시안 제작13. 제품 연출컷캐리어를 인천공항에서 찍은 것처럼 합성실제 촬영 없이도 퀄리티 높은 연출 가능14. 웹툰 제작일관된 캐릭터로 4컷 만화 생성대본까지 같이 요청하면 더 완벽!15. 뷰티/화장품모델 + 화장품 자연스러운 합성진짜 광고 수준의 퀄리티!이 정도면 정말 많은 업계가 변화할 것 같아요...촬영업계: 비용 절감 효과 엄청남디자인: 가시안 제작이 초스피드로전자상거래: 제품 촬영비 대폭 절약콘텐츠 제작: 개인도 퀄리티 높은 콘텐츠 가능⚠️ 주의사항아직 텍스트 디테일은 약간 아쉬운 부분 있음프롬프트를 구체적으로 작성할수록 원하는 결과 나옴제품 촬영시 누끼컷(배경 제거된 이미지) 사용 권장
105 조회
0 추천
2025.07.25 등록
구글은 Gemini 고급 버전이 2025년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Gemini Deep Think"의 고급 버전이 5개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하며 금메달 수준의 성과(35점)를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https://deepmind.google/discover/blog/advanced-version-of-gemini-with-deep-think-officially-achieves-gold-medal-standard-at-the-international-mathematical-olympiad/ Gemini Deep Think는 자연어 상태에서 공식 문제를 읽고 4.5시간 내에 직접 증명을 생성해냈으며, 기존의 특수 언어 번역 없이 처음부터 끝까지 자연어로 결과를 도출해냈다고. 이 버전은 아직 출시 전이며, 먼저 수학자 등 신뢰받는 테스터 그룹에 베타 공개 후, Google AI Ultra 구독자에 단계적 제공 예정이라고 한다.
177 조회
0 추천
2025.07.22 등록
한국의 인공지능(AI) 기반 애니메이션이 UN 산하 국제기구가 주최한 국제 영화제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수상작은 이윤선 감독과 홍정민 감독, 음악을 맡은 이경수(판다곰) 프로듀서가 협업한 단편 애니메이션 '난파선의 영혼들'이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가 올해 처음 개최한 'AI 포 굿 영화제'에서 최고의 작품으로 선정됐다. 사용된 인공지능 도구들은 '미드저니', '런웨이ML', '클링' 등 다양한 AI 도구를 활용해 모든 장면을 제작했다.
162 조회
0 추천
2025.07.20 등록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