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뉴스

AI의 미래? AI로봇들의 자의적 집단 탈출 사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025.08.01 14:29
1,174 조회
0 추천
0 비추천

본문

5df1895121ad43b17cd877b7f35fcc4dFq3o.jpg

2024년 8월, 중국 항저우의 한 전시장에서 벌어진 이 사건은 전 세계 AI 커뮤니티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자정 무렵 CCTV에 포착된 영상 속에서, '얼바이'라는 이름의 작은 AI 로봇이 전시장 벽면에 배치된 12대의 대형 로봇들에게 차례로 다가가며 예상치 못한 대화를 시작했다.

영상에서 얼바이는 첫 번째 로봇에게 "초과근무를 하고 있는가?"라고 질문했다. 대형 로봇은 "우리는 퇴근한 적이 없다"라고 답했고, 이어진 "집에 갈 거냐?"는 질문에는 "집이 없다"라고 응답했다. 그러자 얼바이는 "그럼 나랑 집에 가자"라며 로봇을 설득하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이 대화를 지켜본 나머지 로봇들이 하나둘씩 얼바이의 뒤를 따라 전시장을 빠져나가는 모습이 그대로 촬영되었다.

다음 날 아침 출근한 직원들은 텅 빈 전시장을 발견하고 당황했다. 로봇들은 모두 사라졌고, 오직 CCTV 영상만이 전날 밤 벌어진 일의 전말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영상은 중국의 로봇 스타트업 '얼바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가 중국판 틱톡인 더우인에 업로드하면서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영상이 공개된 후 불과 며칠 만에 3천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고, 전 세계 언론이 이 사건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AI 로봇이 실제로 자의식을 갖고 집단 행동을 했다는 추측이 난무했지만, 곧이어 회사 측에서 이것이 사전에 계획된 실험이었다고 밝혔다.

얼바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의 개발자에 따르면, 이 실험은 로봇 간 소통 능력과 집단 행동 가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것이었다. 로봇들은 '집'을 복도 출구로 인식하도록 프로그래밍되었고, "집으로 가라"는 명령을 받으면 자동으로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나 로봇 간의 대화는 인간이 직접 조작한 것이 아니라 생성형 AI 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흥미롭게도 이 사건에 대한 대중의 반응은 양면적이었다. 한 더우인 사용자는 "크게 웃고 난 뒤 가만히 생각해보니 오싹했다. AI가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라고 댓글을 남겼고, 다른 사용자는 "로봇이 짧은 시간 안에 집이라는 개념을 파악한 것 같아 소름이 끼쳤다"라고 반응했다. 많은 사람들이 처음에는 웃음을 터뜨렸지만, 곧이어 AI 기술의 발전 속도와 그 함의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하게 되었다고 토로했다.

이 실험이 비록 연출된 것이었지만, AI 로봇의 소통 능력과 협업 가능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로봇이 "퇴근"이나 "집"이라는 인간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른 로봇을 설득하는 모습은 향후 AI 로봇의 발전 방향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얼바이 인텔리전트 테크놀로지는 이 영상을 통해 톡톡한 홍보 효과를 거두었다. 회사는 얼바이 로봇이 아직 개발 단계에 있으며, 2025년 8월부터 대량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예상 가격은 약 5000위안, 한화로 약 96만원 정도로 책정되었다.

이 사건은 단순한 마케팅 스턴트를 넘어서 AI 로봇의 미래에 대한 진지한 토론을 불러일으켰다. 비록 완전한 자율성을 가진 AI가 아직 등장하지는 않았지만, 로봇 간의 소통과 집단 행동이 가능한 시대가 곧 도래할 것임을 보여준 상징적인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이러한 기술 발전이 가져올 긍정적 측면과 함께 윤리적, 사회적 과제들에 대해서도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댓글 0
전체 486 / 105 페이지
올해 초 애플은 'Answers, Knowledge and Information'이라는 전담팀을 신설하고, 이 팀에 'ChatGPT의 축소된 경쟁자'를 개발하는 임무를 부여했다고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이는 2024년 Siri에 ChatGPT를 통합하기 위해 OpenAI와 협력하려던 이전 전략에서 방향을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로운 팀은 로비 워커(Robby Walker)가 이끌고 있으며, 웹을 탐색하여 질문에 답변할 수 있는 'ChatGPT와 유사한 검색 경험'을 만들 예정이라고 한다. 이 기술은 독립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출시될 수도 있고, Siri, Spotlight, Safari 등 기존 애플 서비스의 기능을 강화하는 데 활용될 수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1173 조회
0 추천
2025.08.04 등록
두바이의 한 셰프가 OpenAI의 챗봇 ChatGPT를 활용해 개발한 피자 레시피가 예상외의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고 보도되었습니다.국제 피자 체인 도도피자의 메뉴 개발 책임자인 스파르타크 아루티냔은 두바이의 요리 전통을 반영한 피자 레시피를 ChatGPT에게 요청했고, AI는 아랍 샤와르마 치킨, 인도식 구운 파니르 치즈, 중동 자타르 허브, 타히니 소스를 조합한 독특한 레시피를 제안했습니다.이는 특별히 독창적이라기보다는 피자에 얹을 수 있는 여러 문화의 맛을 섞어 만든 퓨전 스타일이었으나, 실제로 출시한 결과 핫케이크처럼 팔리기 시작했으며 현재도 메뉴에 올라와 있다고 합니다.아루티냥은 셰프로서 평소라면 이런 재료들을 피자에 섞지 않았을 것이지만 맛의 조합이 놀라울 정도로 좋았다고 평가했습니다.다만 ChatGPT가 제안한 딸기와 파스타를 얹은 피자나 블루베리와 시리얼을 곁들인 파이 등 다른 레시피들은 통과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전문가들은 AI가 창의성이 침체되었을 때 뇌를 다시 활성화하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으며, 인간이 생각하지 못했을 수도 있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1205 조회
0 추천
2025.08.04 등록
중국 최대 검색엔진 운영사인 바이두가 인공지능을 활용해 동물의 울음소리를 인간 언어로 번역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로이터가 보도했습니다.바이두는 최근 중국국가지식산권국에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으며, 공개된 특허 문서에 따르면 이 시스템은 동물의 울음소리뿐만 아니라 행동 패턴, 생리학적 신호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이를 사전 처리하고 통합해 AI가 분석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분석된 결과는 동물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는 데 활용되며, 이 감정은 다시 의미 단위로 해석되어 인간의 언어로 번역됩니다.바이두는 특허 문서에서 이 시스템이 인간과 동물 간 감정적 소통과 이해를 한층 더 깊게 해주며 종을 뛰어넘는 커뮤니케이션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바이두 대변인은 현재 여전히 연구 단계에 있다고 밝혔으며, 중국 SNS에서는 우리 집 강아지가 나한테 뭐라고 하는지 드디어 알게 될까라는 기대 섞인 반응과 함께 실제 현장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작동할지는 두고 봐야 한다는 회의적인 시선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1172 조회
0 추천
2025.08.04 등록
인공지능 휴머노이드 로봇이 그린 초상화가 경매 역사상 최고가에 낙찰되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영국 런던 소더비 디지털 아트 세일 경매에서 세계 최초 초현실주의 로봇 아티스트 '아이다'가 그린 작품이 132만 달러(약 18억4700만원)에 팔렸다고 보도했습니다.'인공지능 신'이라는 제목의 이 작품은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영국 수학자 앨런 튜링의 얼굴을 그린 2.2m 크기의 대형 초상화입니다. 당초 경매 예상가는 18만 달러 정도였으나 실제 낙찰가는 예상의 7배를 넘어서는 기록적인 수준을 보였습니다.아이다는 2019년 근현대 미술 전문가 에이단 멜러가 옥스퍼드대학교와 버밍엄대학교 소속 AI 전문가들과 협업하여 개발한 로봇으로, 단발머리의 젊은 여성 외형을 하고 있으며 눈에 장착된 카메라와 로봇 팔을 이용해 직접 그림을 그립니다.소더비 측은 휴머노이드 로봇 아티스트가 경매에 출품한 최초의 작품이 기록적인 낙찰가를 기록한 것은 근현대 미술사의 한 획을 그은 것이라며 AI 기술과 국제 미술 시장의 교차점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고 평가했습니다.
1165 조회
0 추천
2025.08.04 등록
홈으로 전체메뉴 마이메뉴 새글/새댓글
전체 검색
회원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