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도 AI 부정행위 적발, 대면시험서도 발생
페이지 정보
본문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연세대와 고려대에 이어 서울대에서도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시험 부정행위가 적발되며 대학가 전반에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온라인 시험뿐 아니라 대면 시험에서도 AI 부정행위가 발생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명문대학들이 AI 시대에 맞는 교육 평가 시스템 마련에 속수무책인 상황을 드러냈다.
대면 시험도 예외 없어
12일 서울대에 따르면 지난달 치러진 교양 과목 '통계학실험' 중간고사에서 일부 학생이 AI를 활용해 문제를 푼 정황이 적발됐다. 이 강의는 서울대 자연대에서 개설한 교양과목으로 약 30명이 수강하는 대면 강의다. 중간고사도 강의실에 비치된 컴퓨터를 이용한 대면 방식으로 치러졌다.
학교 측은 시험 전 AI 활용을 금지한다고 공지했지만, 조교가 채점 중 AI 사용 정황을 발견했다. 서울대 관계자는 "자진 신고한 학생이 두 명 있었다"며 "집단적 부정행위 정황은 발견되지 않았고 개인적 일탈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대는 해당 분반의 중간고사 성적을 무효화하고 재시험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연세대 '자연어처리와 챗GPT' 수업에서는 600명 중 190명 이상이 비대면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 '고령사회에 대한 다학제적 이해' 과목에서도 학생들이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을 통해 답안을 공유해 시험이 전면 무효화됐다.
구조적 문제 지적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개인의 윤리 문제를 넘어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한다. 대학정보공시에 따르면 연세대의 비대면 강의는 2022년 2학기 34개에서 2024년 2학기 321개로 급증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조사 결과 대학생의 91.7%가 과제나 자료 검색에 AI를 활용한다고 답했지만,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따르면 전국 131개 대학 중 AI 가이드라인을 마련한 곳은 30곳(22.9%)에 불과하다.
김명주 바른AI센터장은 "대면시험에서도 부정행위가 발생한 것은 교수들이 AI의 영향력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결과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정직하게 시험을 치른 학생만 손해"라는 인식이 확산하고 있다.
가이드라인 마련 시급
각 대학은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다. 서울대는 오는 21일 '챗GPT로 숙제해도 될까요'라는 주제로 학부생 대상 워크숍을 개최할 예정이다. 연세대도 조만간 AI 활용과 윤리를 주제로 긴급 공청회를 열기로 했다. 유재준 서울대 자연대 학장은 "단순히 정답을 맞히는 기존 시험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는 근본적인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