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확대와 에너지 절감 정책 충돌 논란
페이지 정보
본문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정부가 AI 인프라 확대를 추진하며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겠다는 상반된 목표를 동시에 제시해 정책 일관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SK그룹과 아마존웹서비스(AWS)가 7조원을 투자하는 울산 AI 데이터센터가 분산에너지특구 선정에서 배제되면서 논란이 가중되고 있다.
에너지 소비 감축 목표와 AI 투자 확대 동시 추진
기후에너지환경부는 5일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제7차 에너지 이용 합리화 기본계획'을 의결했다고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24년 2억1200만toe(석유환산톤)인 최종 에너지 소비량을 2029년까지 2억1100만toe로 4.7% 감소시켜 "에너지 소비량 감소 국가"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그러나 AI 데이터센터와 반도체 공장 증설로 인한 전력 수요 급증은 이러한 목표 달성을 어렵게 만들 전망이다.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에 따르면 국내 데이터센터의 전력 용량은 2024년 1.08GW에서 2029년 2.37GW로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최근 엔비디아의 GPU 26만장 추가 공급 등은 고려하지도 않은 수치다.
울산 AI 특화단지, 분산에너지특구서 제외
정책 모순은 분산에너지특구 선정에서도 드러났다. 기후부는 같은 날 제주·전남과 부산 강서·경기 의왕 등 4곳을 분산에너지특구로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분산에너지특구로 지정되면 전력 직거래를 통해 전력 구매가를 낮출 수 있는 혜택을 받게 된다.
하지만 산업 수요가 많은 후보지였던 울산·포항·서산 등은 탈락했다. 특히 울산은 SK그룹과 AWS가 7조원을 투자해 2027년부터 운영 예정인 국내 최대 규모의 AI 전용 데이터센터가 위치한 곳이다. 이 데이터센터는 100MW급 그래픽처리장치 전용 설비를 갖춘 AI 인프라로 약 6만장의 GPU가 투입될 예정이다.
전문가들 "정책 현실성 부족" 지적
전문가들은 AI 투자 확대와 에너지 절감 정책이 양립하기 어렵다고 지적하고 있다.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최근 간담회에서 "AI의 가장 큰 문제는 에너지 문제"라며 "양자 기술이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정부는 이번 계획에서 데이터센터에 대해서도 전력 효율수준 신규지표 마련·적용과 주요 설비 효율등급제 적용, 수요관리 제도 신설 등을 통한 에너지 효율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AI 시대 막대한 전력 수요 증가를 감안할 때 정책 목표 달성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