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증시, AI 버블 우려와 기술주 매도세에 급락
페이지 정보
본문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아시아 증시는 수요일 인공지능 버블에 대한 우려로 역내 기술주에서 대규모 매도세가 촉발되면서 수개월 만에 가장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다. 이는 월스트리트의 주요 은행들이 잠재적 시장 조정에 대해 전날 밤 경고한 데 따른 것이다.
한국의 코스피 지수는 최대 6% 급락하며 2024년 8월 이후 가장 큰 단일 거래일 낙폭을 기록했다. 일본의 닛케이 225 지수는 4.5% 하락하며 10월 말 이후 처음으로 중요한 50,000선 아래로 떨어졌다. 홍콩의 항셍지수는 1.1% 하락했고, 대만의 벤치마크 지수는 2.5% 하락했다.
월스트리트 경고로 글로벌 매도세 촉발
아시아 시장의 급락은 화요일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의 CEO들이 향후 12~24개월 내에 주식 시장이 10~20%의 조정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한 데 따른 것이다. 골드만삭스 CEO 데이비드 솔로몬은 홍콩에서 열린 글로벌 금융 리더스 투자 서밋에서 "향후 12~24개월 내에 주식 시장에서 10~20%의 하락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러한 경고는 AI 주도 랠리가 밸류에이션을 지속 불가능한 수준으로 끌어올렸는지에 대한 투자자들의 의문이 제기되면서 나왔다. 기술주가 화요일 미국 시장 하락을 주도했으며, 나스닥 종합지수는 2% 하락했고 S&P 500은 1.2% 하락했다.
기술 대기업들이 매도세의 직격탄을 맞다
SoftBank Group이 가장 큰 피해를 입으며 14% 이상 급락하여 약 320억 달러의 시가총액이 증발했습니다. 이 일본 대기업은 대규모 AI 투자로 인해 투자자들이 인공지능 관련 주식에서 이탈하면서 특히 취약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한국에서는 반도체 대기업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각각 약 6-7% 하락했으며, 이는 올해 각각 80% 및 200% 이상 급등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한 것입니다. 대만 반도체 제조는 초기 거래에서 3% 하락했습니다.
이번 매도는 AI 섹터의 과도한 밸류에이션에 대한 회의론이 커지는 것을 반영했으며, 특히 "빅 쇼트" 투자자 마이클 버리가 엔비디아와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에 대한 대규모 약세 베팅을 공개한 이후 나타났습니다. 버리의 사이언 애셋 매니지먼트는 엔비디아에 대해 1억 8,660만 달러, 팔란티어에 대해 9억 1,200만 달러 상당의 풋옵션을 공개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