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통합 AI 에이전트 '에이전트N' 공개
페이지 정보
본문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네이버가 6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단25(DAN25)' 콘퍼런스를 통해 통합 AI 에이전트 '에이전트N'을 공개하며 소비자 서비스부터 제조업까지 아우르는 AI 전환 전략을 발표했다. 검색과 쇼핑을 넘어 AI 기업으로의 전면 도약을 선언한 이번 발표는 국내 AI 산업 지형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기조연설에서 "지난 1년간 독자적 기술력으로 검색, 쇼핑, 로컬, 금융 등 주요 서비스에 AI를 접목한 결과, 사용자 만족도가 증가하고 매출 성장을 견인하는 등 긍정적인 시그널을 얻었다"며 "그동안의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주요 서비스에 순차적으로 고도화된 에이전트를 본격 도입한다"고 밝혔다.
내년 상반기 AI 에이전트 본격 출시
네이버는 내년 1분기 AI 쇼핑 서비스 '네이버플러스 스토어'에 쇼핑 에이전트를 먼저 출시하고, 2분기에는 통합검색에 AI 에이전트를 적용한 'AI탭'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에이전트N'의 핵심은 사용자가 검색어를 고민할 필요 없이 자연스러운 대화만으로 원하는 콘텐츠, 상품, 서비스에 연결되고 실제 구매나 예약까지 완료할 수 있다는 점이다. 김범준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다양한 유형의 메타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네이버만의 장점을 살려 실제 구매자와 예약자만 남길 수 있는 리뷰, 판매자와 직접 연결된 재고 데이터 등 신뢰도 높은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네이버는 비즈니스 통합 에이전트 '에이전트N 포 비즈니스'도 내년부터 순차 공개할 예정이다. 이종민 광고 사업 부문장은 "분산되어 있던 사업자 솔루션과 데이터를 하나의 비즈니스 허브로 통합해 사업자가 AI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환경을 분석하고 현황을 손쉽게 진단, 개선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1조원 GPU 투자로 제조업 AI 전환 주도
네이버는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2026년까지 GPU에만 1조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이는 올해 3분기 영업이익 5706억원을 훨씬 웃도는 규모로, 네이버의 AI 사업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
특히 네이버클라우드는 '소버린 AI 2.0' 전략을 통해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한국 핵심 제조 산업의 AI 전환을 이끌겠다고 발표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네이버는 자국의 언어, 데이터, 산업 구조를 가장 깊이 이해하는 기업으로서 산업별 버티컬 AI 모델을 구축해가고 있다"며 "조선, 에너지, 바이오 등 주요 산업 기업들과 협력해 제조 전 과정의 AI 활용을 고도화하고, 이 기술을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일본 등 글로벌 시장으로 확산하겠다"고 말했다.
최수연 대표는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한국 제조 핵심 산업의 탄탄한 경쟁력 위에 네이버가 갖춘 독보적인 AI 소프트웨어 역량을 더해 대한민국 산업 전반의 AI 전환과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풀스택 AI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발표는 네이버가 3분기 사상 최대 실적(매출 3조1381억원, 영업이익 5706억원)을 기록한 가운데 나온 것으로, 탄탄한 재무 기반을 바탕으로 한 공격적 AI 투자 전략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