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클라우드, 국내 첫 액체 냉각 AI 데이터센터 개소
페이지 정보
본문

(퍼플렉시티가 정리한 기사)
kt cloud가 6일 국내 상업용 데이터센터로는 처음으로 리퀴드 쿨링(액체 냉각) 기술을 적용한 '가산 AI 데이터센터'를 개소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고성능 GPU 발열 문제 해결을 통해 AI 인프라 시장 선점에 나선 전략적 행보로 평가된다.
가산 AI DC는 연면적 약 1만1046평, 지하 5층·지상 10층 규모로 총 수전 용량 40MW, IT 용량 26MW를 갖춘 초거대 AI 인프라 허브다. 특히 GPU 칩에 콜드플레이트를 부착하고 냉수를 직접 접촉시키는 D2C(Direct to Chip, 직접 칩 냉각) 방식을 국내 최초로 상용화했다.
최지웅 kt cloud 대표는 "GPU 발열량이 많아 내구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수명이 2~3년에 불과해 리퀴드 쿨링은 필수적"이라며 "온도가 낮춰져야 오래 쓸 환경이 마련된다"고 강조했다.
AI 전용 서비스로 시장 공략
가산 AI DC를 통해 kt cloud는 국내 최초의 'Colo.AI' 서비스를 본격 제공한다. 이는 고객 맞춤형 GPU 서버, 전용 네트워크, 운영 플랫폼, 유지보수까지 모든 것을 포함한 통합형 턴키 AI 인프라 서비스다. 엔비디아 B200 등 최신 GPU 기반으로 구성되며, 랙당 최대 160kW급 처리가 가능해 엔비디아 블랙웰급 GPU 시스템도 운영할 수 있다.
현재 국내 전문 AI 기업과 중소 금융기업 등이 이미 Colo.AI를 활용해 대규모 AI 모델 학습 및 서비스 운영을 수행하고 있다. 최 대표는 "온디맨드 방식이어서 초기 투자 부담이 없고, 데이터센터 인프라와 통신망을 모두 갖춰 경쟁력이 높다"고 밝혔다.
AI 인프라 확장 계획
kt cloud는 가산을 시작으로 서부권역을 포함한 국내 주요 거점에 2030년까지 500MW 이상 규모의 인프라를 중장기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이는 엔비디아가 한국에 GPU 26만장을 공급하기로 한 가운데, AWS가 7조원 규모로 국내 AI 데이터센터를 확충하는 등 글로벌 빅테크의 한국 투자가 본격화되는 시점과 맞물려 있다.